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호남에서 높은 득표율을 보이며 압승을 거둬 향후 대권 가도에서 '대세론'을 이어갈 전망이다.
여전히 '반문(反文: 반문재인) 정서'가 사그라지지 않은 것으로 보였던 호남에서 60%대의 높은 득표율을 보인 것은 문 전 대표의 대세론과 정권교체를 바라는 호남 민심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지난해 연말부터 조기 대선 전망 속에 확고하게 자리한 '문재인 대세론'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호남권 대다수 민주당 지방의원과 지역위원장 조직이 문 전 대표 지지로 돌아선 것이 호남권 압승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문 전 대표의 부인 김정숙 여사가 호남에 상주하면서 바닥 민심 다지기에 올인, 지난 4'13 총선에서 정점을 찍었던 '반문 정서'가 상당 부분 희석됐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문 전 대표가 최근 논란이 일었던 전두환 전 대통령 표창 수상 등 그동안 호남에서 반문 정서에 시달려왔던 만큼 이번 호남권 경선에서 과반의 압승은 의미가 커 보인다.
그동안 대선 민심의 풍향계 역할을 해왔던 호남에서 민심을 얻지 못하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적이 없었다는 점에서 문 전 대표는 호남에서 가장 어려운 1차 관문을 통과한 셈이다.
아울러 호남 1위 후보는 민주당의 적통이라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앞으로 남은 세 차례(충청-영남-수도권 등) 순회경선에 미칠 파급 효과도 클 것이란 분석이다.
반면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은 문 전 대표의 과반 저지를 노렸지만, 호남에서의 조직과 지지세력에서 크게 밀리면서 결국 '대세론'의 벽을 넘지 못했다.
현재로서는 선거인단 비율이 높은 호남에서 큰 표 차이로 문 전 대표의 압승이 이뤄짐에 따라 향후 경선을 통한 반전은 사실상 없을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중론이다.
그렇다고 반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만은 아니다. 선거인단 비율이 가장 높은 '수도권 대전'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위권인 두 사람은 향후 경선에서 격차를 줄이면서 수도권에서의 반전 기회를 노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안 지사는 안방인 충청권에서, 경북 안동 출신인 이 시장은 영남권 등에서 1위와의 격차를 좁힌 뒤 수도권에서 승리한다면 극적인 역전도 가능하다는 계산을 세워두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