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의원이 바른정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이제 관심사는 유 후보가 본선에서 선전할지 여부다. 그러나 상황은 매우 어렵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유 후보의 지지율은 그야말로 바닥이다. 최근 리얼미터 조사에서 유 후보의 지지율은 2.2%에 그쳤다. 정당 지지율은 비교섭단체인 정의당에도 뒤진다. 유 후보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전에 탄핵 심판 이후에는 지지율 추세가 달라질 것이라고 했지만 그런 변화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 원인은 유 후보 개인에 대한 거부감이 아니라 최순실 사태와 박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보수 전체가 받은 타격에 있다고 봐야 한다. 유 후보가 박 전 대통령에게 '배신자'로 낙인찍히고, 지난해 총선에서는 공천도 받지 못하는 등 친박 세력과 다른 길을 걸으면서도 보수라는 정체성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보수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는 여론의 편향에서 그런 부정적 이미지와 거리가 있는 유 후보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유 후보의 과제가 무엇인지를 말해준다. 바로 보수의 재건이다. 유 후보도 이를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 그는 수락 연설에서 "보수가 흔적도 없이 사라질 위기"라며 "이 땅의 보수를 새로 세우는 데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보수가 총체적 불신을 받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결코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안보는 철저히 지키되 경제'사회 정책은 약자와 소외 계층을 배려한다는 그의 노선은 우리의 지정학적'시대적 요구에 잘 부응한다. 특히 안보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는 안보관은 믿음이 간다.
이런 점에 유권자가 주목한다면 이변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넘어야 할 큰 산이 있다. 바로 보수의 결집이다. 지금 대선 판도의 주도권은 야당이 쥐고 있다. 그러나 보수는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으로 분열돼 있다. 후보 단일화든 연대든 힘을 합치지 않으면 승산이 없다.
유 후보는 이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행동 방향을 정해야 한다. 앞으로 끝까지 완주할 것이냐 아니면 보수 재건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냐를 판단해야 할 시점이 분명히 올 것이다. 그때 결정의 기준은 보수의 결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