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잇따른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강경대처 방침을 공언함에 따라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이 어느 때보다 높다. 미국의 최신형 핵추진 항공모함이 기존 작전을 취소하고 한반도로 향한다는 소식에 일각에서는 '전쟁설'까지 나돌고 있다.
국민의 불안감이 높아지자 대선 후보들도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양강구도를 굳히고 있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말 바꾸기' 비판을 무릅쓰고 안보현안에 대한 기존 입장을 수정했다. 보수 성향 지지자의 이탈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다.
그동안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해 온 문 후보는 11일 "북한이 핵도발을 멈추지 않으면 사드 배치가 불가피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나아가 안보위기 대처를 위해 5당 대표 및 대선 후보가 참여하는 '5+5' 긴급안보비상회의 개최를 제안하기도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한반도를 둘러싼 현재의 안보 상황은 '평시'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입장을 선회했다"고 설명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남북화해정책)을 계승해야 한다는 이유로 당의 대선 후보(사드 배치 찬성)와 의견을 달리했던 국민의당 지도부도 상황논리를 내세워 당론 변경을 논의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지금은 제재 국면이고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은 시점이기 때문에 한미동맹에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우선"이라는 뜻을 나타냈다.
정치권에선 두 후보 가운데 상대적으로 안 후보 진영이 크게 출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안 후보가 그동안 보수 성향 유권자를 많이 흡수했기 때문이다. 문 후보 진영 일부에선 안 후보와 보수 정당 후보들이 보수 성향 유권자의 표를 나눠 가질 수 있다는 계산도 하고 있다.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안보=보수'라는 점을 강조하며 두 유력후보 진영에 대한 안보 압박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안보위기를 계기로 보수 진영을 정비하고 표를 재결집시켜 반전 드라마를 쓰겠다는 각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