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삼성그룹 공채를 위한 마지막 직무적성검사(GSAT)가 치러졌다. 내년부터는 계열사별로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란다. 그룹 공채가 계열사별 채용으로 바뀌면 실제 채용 규모는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정확한 삼성의 채용 규모를 알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시민사회의 눈치를 볼 필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안 그래도 차별받는다는 느낌이 드는 지방대생들로서는 미칠 지경이다. 이제는 정당하게 겨뤄볼 기회조차 박탈당하고 마는 것인가?
보수정권은 그동안 기업이 잘되면, 특히 한국경제를 이끄는 대기업이 잘 되면 청년 일자리를 비롯해 모든 것이 잘 풀릴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매출 50조원, 영업이익 9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에는 사상 최대인 13조원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고 한다. LG전자도 올 1분기에 역대 2번째인 9천215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보다 무려 82.4%나 급증했다. 이뿐이 아니다.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들의 순이익은 사상 처음 100조원을 돌파했다. 그런데도 주요 대기업 5곳 중 1곳은 지난해보다 채용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한 명도 뽑지 않을 예정이란다. 취업준비생과 부모, 가족들 입장에선 환장할 노릇이다.
진보 진영에서는 대책으로 각종 청년수당을 제시하고 있다. 저소득층 청년들이 좀 더 잘 취업준비를 할 수 있도록 말이다. 취업할 곳은 줄어드는데 준비만 더 잘하라니, 근본적인 치료는 외면하고 진통제 처방만 하겠다는 뜻이다. 청년의 절망이 사회의 도덕적 해이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2년간 임금을 대기업의 80% 수준이 되도록 보전해주겠다는 공약도 나왔다. 청년들은 말한다. "너의 자식을 중소기업에 취업시켜 봐라. 그 말이 나오나." 그만큼 상당수의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임금과 복지가 열악하다. 솔직히 앞길이 구만리 같은 청년들에게 '그런' 중소기업에 취업하란 소리는 인생을 포기하란 소리로 들리는 것이 현실이다. 또 임금을 보전해주는 2년이 지나면 그다음은 어떻게 할 것인가?
공시족(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얼마 전 지역 대학교수 몇 명을 만났더니, 지방국립대학이 공무원 학원이 되어버렸다고 한탄을 한다. 그러나 지방대생 입장에선 이보다 더 합리적인 선택은 없다. 공무원 시험은 그래도 아직까진 '대한민국에서 가장 공정한 시험'으로 꼽힌다. 일단 성공하면 웬만한 대기업보다 낫다. 그래서 공무원을 막 늘려 청년 일자리를 만들겠단다. 공무원 1명 채용하는 데 드는 평생비용이 얼마인지는 알고 하는 소리일까?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