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 하루 전날인 8일까지도 식품업계를 중심으로 한 먹을거리 가격 인상이 이어졌다.
최근 라면과 맥주, 치킨, 햄버거 등 서민 인기 식품들의 가격이 줄줄이 오른 데 이어 제19대 대선 전날인 8일에도 사이다와 콜라 등 음료 가격이 평균 7% 이상 뛰었다.
롯데칠성음료는 자사 7개 음료제품(칠성사이다, 펩시콜라, 밀키스, 레쓰비, 실론티, 솔의눈, 핫식스)의 편의점 판매가격을 평균 7.5% 인상했다. 칠성사이다 250㎖ 캔이 7.7%, 펩시콜라 1.5ℓ 페트가 3.7% 올랐다. 밀키스 250㎖ 캔, 실론티 240㎖ 캔도 각각 10% 인상됐다.
롯데칠성음료의 탄산음료 가격 인상은 2015년 1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번에는 편의점 판매 제품에 대해서만 가격이 올랐으나 앞으로 대형마트 등 다른 유통망에서 판매하는 제품도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칠성에 따르면 이번에 가격을 올린 것은 원부자재(설탕, 과당, 캔, 페트 등)의 가격과 인건비, 유류비, 물류비 등의 가격 상승 부담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롯데칠성 관계자는 "소비자 물가안정을 위해 최소화 수준으로 조정했으며 펩시콜라 1.5ℓ 페트의 경우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경쟁사 제품보다 여전히 20%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작년 말부터 식품가격 인상이 끊이지 않는 것이 권력 공백기를 틈탄 꼼수 인상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지난해 11월 오비맥주가 자사 주요 맥주 제품 출고가를 평균 6% 올렸고, 코카콜라도 같은 달 코카콜라와 환타 출고가를 평균 5% 올렸다. 이어 하이트진로가 맥주 제품 출고가를 평균 6.33% 올렸고, 삼양식품과 농심이 자사 주요 제품 권장 소비자 가격을 각각 평균 5.4%, 5.5% 올렸다. 치킨 프랜차이즈인 BBQ도 지난 1일 황금올리브치킨 등 10개 품목의 가격을 최대 12.5% 인상했으며, 차 음료 전문 브랜드 공차코리아와 커피전문점 탐앤탐스, 패스트푸드 맥도날드와 버거킹,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 자연별곡과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등도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 각각 가격을 인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