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대선 정국에 정계 개편 폭풍이 불고 있다. 통합론이 먼저 제기된 곳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다.
국민의당 지도부가 12일 "바른정당과 통합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개혁 보수 성향의 바른정당에 손을 내밀면서 설로만 돌던 정계 개편 시나리오가 수면으로 올라왔다. 제안을 받은 바른정당 역시 통합 가능성을 열어두고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 전체가 모이는 15일 연찬회에서 의논하기로 해 소수 야당을 중심으로 개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모양새다.
◆국민의당 주승용 "바른정당과의 통합 적극 검토"
통합론을 먼저 제기한 쪽은 국민의당이다.
국민의당 지도부 총사퇴로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은 주승용 원내대표는 이날 "바른정당과 통합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하며 통합론에 불씨를 지폈다.
그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바른정당과 통합이 돼 60석 정도면 국회 내에서도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의석은 각각 40석, 20석이다. 여당인 민주당은 120석, 제1야당인 한국당은 바른정당 탈당파 의원들의 복당을 승인하면서 107석으로 거대 야당이 됐다. 주 원내대표의 발언은 소수 야당인 두 정당이 힘을 합쳐야 국회 운영과 협상에서 캐스팅보트로서 목소리를 키울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바른정당과의 통합 주장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물론 국민의당 차기 원내 지도부와도 상당 부분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으로 당을 이끌어갈 차기 원내대표 후보인 김관영'김동철'유성엽 국회의원 등도 통합 논의에 큰 거부감이 없는 상황이다.
주 원내대표는 "안 후보도 공감을 하는 부분"이라고 했고, "8월 말 이전에 통합 전당대회를 열 수도 있는 것이고, 그렇게 됐으면 좋겠다"며 양당 통합 전당대회 시점까지 언급했다.
두 정당의 통합론에 힘이 실리는 데는 정책 방향과도 연관이 있다.
국민의당은 호남 기반 진보 성향, 바른정당은 한국당에서 쪼개져 나온 보수 정당이지만 대북'통일 정책을 빼면 사회와 경제 전 분야에서 노선이 비슷하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사드 배치를 주장하고, 대북 정책에서 강경 노선을 취하는 바른정당과 통합하면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계 일부 인사가 포진한 국민의당 내에서 햇볕정책 계승론자들과 부딪칠 수 있다.
◆바른정당 주호영, "15일 연찬회에서 논의할 것"
통합 러브콜을 받은 바른정당은 일단 관망하는 모양새다.
주승용 국민의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3시쯤 국회에서 만나 양당 통합과 연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국민의당발(發) 통합론이 언론에서 보도되자, 주호영 원내대표가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국민의당 원내대표실을 찾아간 것이다.
바른정당은 통합 가능성을 열어두되, 전체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 등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모아 결정하기로 했다. 15일과 16일, 강원도 고성에서 열리는 당 연찬회에서 국민의당과의 통합이 자연스레 논의되면 이후 입장을 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제 개인적인 생각은 이념'정책이 (국민의당과) 가장 가깝다고 하지만, 통일과 안보관 등 극복해야 할 차이도 적지 않아 쉬운 일이 아니라고 본다. 다만 양당이 지도부가 교체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새 지도부가 들어서면 그 논의가 좀 더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양당 통합과 관련, 바른정당 내에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대선 직후 두 당의 통합 논의는 인위적으로 보여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는 지적과 "정치는 가능성의 예술"이라며 통합 논의에 적극적으로 응하자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통합 논의는 다음 주 초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16일 국민의당이 원내대표 경선을 실시해 새 지도부를 선출하고, 바른정당 연찬회 뒤 구성원들의 의견을 하나로 모을 예정이어서 이후 구체적인 통합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