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악성 랜섬웨어 피해" 국내 8개 기업 신고

국내 감염된 IP 4천개 넘어…개인 PC방·식당 피해 많아

지구촌을 강타한 '랜섬웨어'(컴퓨터 사용자 파일을 담보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로 인해 국내 기업 8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지난 13일부터 15일 오후 5시 현재까지 국내 기업 8곳이 피해 신고를 하고 기술 지원을 받기로 했다.

또 CJ CGV를 포함해 감염 의심 건수는 13건으로 집계됐다. 감염 의심은 KISA가 랜섬웨어 감염을 직접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기업을 통해 관련 문의와 유사 증상이 접수된 사례를 뜻한다.

118 전화 상담센터를 통한 랜섬웨어 관련 문의는 총 2천875건이었다.

정부나 공공기관의 피해는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2일 유럽을 중심으로 대규모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하면서 대부분의 기업과 공공기관이 업무에 복귀하는 이날 추가 피해가 우려됐다. 다행히 대다수 기업과 공공기관이 사전 조치에 나서며 당장 피해는 크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보안업계는 랜섬웨어가 확산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보안업체 하우리가 입수한 국내 랜섬웨어 감염 IP(인터넷 주소)는 4천 개를 넘었고, 이스트시큐리티의 통합 백신 '알약'이 탐지한 랜섬웨어 공격 건수는 12일 942건, 13일 1천167건에 이어 14일에는 3천 건을 웃돌았다.

실제 개인 PC방과 식당 등 소규모 상가에서는 피해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 한창규 센터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기관과 보안업체의 신속한 대응으로 국내는 해외 대비 큰 피해가 없을 듯하지만 신변종이 늘어날 수 있다"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안수칙을 생활화하고, 관련기관과 보안기업의 공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