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흡연할때 나오는 CO 미세먼지 농도 높인다" 신승호 대구보건대 교수

흡연으로 발생한 일산화탄소(CO)는 상당 시간 흡연지역에 남아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신승호 대구보건대 보건환경과 교수가 세계 금연의 날(31일)을 앞두고 30일 발표한 '캠퍼스 내 흡연지정지역과 비흡연지역에서 흡연 시 발생하는 CO 농도' 연구에서 확인됐다.

신 교수는 지난 3월부터 2개월 동안 대구보건대 내 흡연지정지역인 본관 옆, 연마관, 시계탑 등에서 동시에 3명, 7명이 흡연했을 때 CO 농도를 각각 조사했다. 그 결과 비흡연 시 대기 중에 0.5ppm, 0.5ppm, 0.2ppm인 CO 농도는 3명 흡연 시 1.2ppm, 1.3ppm, 1.1ppm으로 올라갔다. 7명 흡연 시에는 1.8ppm, 2ppm, 1.4ppm으로 비흡연 시보다 최고 7배까지 높아졌다.

특히 흡연 후 5분 뒤에도 CO 농도는 여전히 1.2ppm, 1.3ppm, 0.6ppm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CO는 폐로 들어가면 혈액 중 헤모글로빈과 결합, 산소 보급을 가로막아 심한 경우 사망까지 이르게 하며 연탄 연소가스나 자동차 배기가스, 담배 연기 속에 함유돼 있다. 신 교수는 "이번 조사로 흡연자가 많을 때 CO의 농도가 짙어지고 흡연이 종료되어도 비흡연자가 주변 지역에서 최소 5분간은 피해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흡연으로 발생한 CO는 주변 건물 내부로도 유입되고 미세먼지의 농도도 높인다"고 말했다.

한편 신 교수는 이번에 발표한 CO 농도 조사뿐만 아니라 흡연 시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벤젠, 톨루엔의 대기 잔류 등을 추가로 조사해 올 하반기 한국환경과학회와 대구보건대 학술논문집에 발표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