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울릉 주민 사이에 깊은 갈등을 빚었던 사동항 2단계 여객선석 문제(2016년 10월 20일 자 8면, 21일 자 8면, 27일 자 9면, 2017년 3월 15일 자 10면, 3월 28일 자 12면 보도)가 마무리됐다.
정부가 주민 의견을 반영한 '항만기본계획(변경)'을 5일 고시하면서 1년간 끌어왔던 갈등이 종지부를 찍게 됐다. 울릉 주민의 힘으로 이미 확정된 정부 정책을 뒤바꾼 첫 사례로 꼽힌다.
갈등은 사동항 2단계 항만 공사를 앞둔 지난해 9월 정부가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을 통해 애초 3선석이던 여객선 접안시설을 없애면서 불거졌다. 이후 주민들은 '울릉항 여객 부두 정상화 협의회'를 꾸려 거세게 반발했다. 협의회는 지난해 말 울릉 주민의 절반에 해당하는 5천여 명의 서명을 받아 해양수산부와 국민권익위원회에 전달했고, 지난 3월에는 협의회 관계자와 주민, 울릉군의원 등 80여 명이 세종시 해수부 청사 앞에서 항의 집회도 가졌다.
결국 해수부는 여객부두 2선석을 반영한 변경안을 울릉군에 보내왔고, 주민들은 애초 예정돼 있던 3선석 중 1선석을 양보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어 해수부는 변경한 내용을 담은 항만기본계획을 5일 고시했다.
울릉 주민들은 정부의 항만기본계획 변경 고시를 크게 반기고 있다. 한 주민은 "정부가 주민 입장을 헤아려준 데 대해 감사하다. 울릉 주민들의 힘으로 잘못된 정부 정책을 바꿨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고 했다.
애초 정부가 구상한 울릉 사동항 2단계 항만은 5천t급 여객선 3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여객 부두를 포함한 '민'군'경 복합항'이었다. 총 455m 여객 부두 3선석과 해경 부두 180m, 해군 부두 190m가 들어설 예정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나온 이번 변경 고시에 따라 총연장 305m 여객 부두 2선석, 국가어업지도선 부두 145m, 해경 부두 175m, 해군 부두 400m가 들어서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