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월성1호기 조기 폐쇄 가능성을 또다시 언급한 가운데 월성1호기가 당장 폐쇄되면 세수 등 경제적 효과가 440억여원 줄고, 연인원 100만 명의 고용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첫 중수로 원전인 월성1호기는 지난 2012년 30년 운영 허가 기간이 만료된 뒤 2015년 2월 원자력안전위원회 결정에 따라 2022년까지 연장 운전을 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올해 조기 폐쇄될 경우 연장 운전 종료 시점인 2022년까지 5.5년간 기본지원사업 73억원, 사업자지원사업 73억원, 지역자원시설세 293억원 등 약 440억원이 사라진다. 또 고용 인원은 한국수력원자력 직원과 협력업체 등 매년 평균 18만3천 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 5.5년간 100만 명의 일자리가 없어지는 셈이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최근 정부에 '원자력 해체기술 연구센터' 등 원자력 연구 단지의 경주 설립을 공식 건의했다. 경주는 원전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이 처분될 중저준위방폐장이 있는 지역이며,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해체사업을 총괄할 한수원 본사도 있어 사업의 효율적 추진이 가능하다.
오는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기되는 원전은 경북 6기, 부산 4기, 전남 2기 등 모두 12기이다. 원전 1기당 해체비용은 6천400억여원으로, 국내 해체시장은 약 7조7천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경북도와 경주시 관계자는 "국내 원자력 안전 및 연구개발 관련기관 17곳이 있지만 경북에는 전무하다"면서 "정부가 원자력 관련 시설 최대 집적지인 경주에 원자력 해체기술 연구센터 등 원자력 연구단지가 설립되도록 정책적 지원을 해달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