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수가 줄어들고 있다. 목욕탕과 세차장, 음식점 등 지하수를 사용해온 곳에선 물 부족을 호소한다. 계절적으로 가뭄이 심한 겨울과 봄은 물론 여름에도 지하수 물줄기가 예전 같지 않다. 실제 땅 밑 지하 수위는 낮아지고, 이용할 수 있는 지하수 양도 줄었다.
국토교통부 '국가지하수측정망'에 따르면 서구 비산지점(암반)의 최근 10년(2007~2016년) 7월 평균 지하 수위(표고 기준)는 17.57m로, 이전 10년 평균인 18.54m보다 1m가량 낮다. 중구 대봉지점도 이 기간 1.3m 지하 수위가 줄었다. 도시 외곽인 달성군 현풍지점도 지하 수위가 장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실제 개발이 가능한 지하수 양도 감소했다. 대구시의 '2017~2026년 대구시 지하수관리계획'에 따르면 대구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2016년 8천840만㎥로, 2006년 1억410만㎥에서 15.1%나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지하수 감소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우선 강수량이 줄고 집중호우가 잦아진 기후변화가 손꼽힌다. 더불어 포장된 지표면이 많아진 도시화 영향도 있다.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로 공급되기 어려운 환경이 된 것이다.
각종 공사와 지하구조물도 전문가들이 꼽는 또 다른 요인이다. 지하 굴착 때 흘러나온 지하수가 우수관으로 바로 배출되거나 지하철과 지하주차장 등 지하 공간 활용이 늘어나면서 유출 지하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김해동 계명대 지구환경학과 교수는 "기후변화와 도시화 영향이 땅속 지하수에까지 영향을 미쳐 지반 침하와 도시 홍수 등 재난 발생의 원인이 된다"며 "지하수 감소는 도시의 물순환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대통령실 결단에 달린 'TK신공항 자금난'…대구시 '新 자금 계획'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