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추가 배치 후 사흘이 지난 10일 소성리 마을은 일단 겉으로 평온을 찾은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폭풍이 휩쓸고 지나간 듯한 소성리 마을회관 주변에서는 주민과 6개 시민단체 회원 등 30여 명이 이야기를 나누거나 부서진 시설물을 고치고 있었다. 주민들은 경찰의 강제 해산과 발사대 배치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마을회관 앞 도로에 부서진 텐트 뼈대 등을 모아 두고 군경차량 출입을 막았다. 일반 차량은 옆으로 지나갈 수 있다.
원불교는 이날 오후 마을회관 앞에서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법회를 열었다. 평소 마을회관 앞에 상주하던 경찰 160여 명(2개 중대)은 마을회관에서 500여m 떨어진 소성저수지에 경찰 버스를 세워두고 마을 상황을 살폈다.
앞서 9일 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하는 시민단체들은 "사드 문제의 진정한 해결책은 사드 철회뿐이고 사드 가동 중단, 부지 공사 중단이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드철회성주초전투쟁위원회와 김천시민대책위원회'원불교성주성지수호비상대책위원회 등 6개 시민단체는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대국민 메시지에 대해 성명을 내고,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를 되돌릴 수 있는 임시배치라고 강변하는 것은 자기기만이자 주민'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며 "주민과 원불교에 대한 지원 언급 등 회유 시도는 평화를 위한 의로운 행동을 모독하는 행위이므로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저녁에는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서 지속적인 사드 배치 철거운동 전개 의지를 확인하는 촛불집회를 열었다.
시민단체는 11일 대책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대응 방안과 함께 5차 국민평화행동 날짜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소성리 종합상황실은 지난 7일 사드 발사대 4기를 저지할 당시 부상자와 재물손괴, 인권침해 등의 피해를 접수한 후 국가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청구 소송 또는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침해 진정을 진행할 계획이다.
소성리 종합상황실이 부상자 현황을 파악한 결과, 10일 현재 부상자는 70여 명으로 늘었다. 이들 중 서모 씨는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돼 7주 진단이 나왔고, 한 주민은 방패에 맞아 눈이 찢어지는 상처를 입어 통원치료를 받고 있다.
강현욱 소성리 종합상황실 대변인은 "다친 주민이 대부분 집에서 치료 중이어서 정확한 집계가 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2, 3일 이내 부상자 현황을 집계하고, 국가인권위 진정 등의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