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미 '말 폭탄전' 거세지자 中 적극 중재 나서

지난 8월에 이어 또다시 북한과 미국 간 험한 '말 폭탄 전(戰)'이 거세어져 자칫 '행동 대 행동'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자 중국이 거듭 자제를 촉구하면서 적극적인 중재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국방위원장까지 나서 서로 인신 모독성 발언을 주고받는가 하면, 선전포고라는 표현이 거침없이 언급되는 등 전쟁 위협 발언까지 남발되자 자칫 오판을 통한 한반도 무력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우선 말 폭탄 전쟁이 유엔 총회를 무대로 이뤄지는 점에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면서, 미국과 북한 양쪽을 동시에 비난하며 싸움을 말리는 한편 대화'협상 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중국은 미국에는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에 사활을 거는 상황에서 미국의 군사 행동 위협이 먹히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에 자제를 요구하고 있다. 북한에는 자꾸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도발로 한반도 긴장을 가속하면 미국의 예측할 수 없는 반격을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대화'협상의 논리는 일관된다. 중국은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동시 중단)과 '쌍궤병행'(雙軌竝行'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을 제시하고, 6자 회담 재개로 대화'협상의 장(場)을 마련하자며 미국과 북한을 설득하고 있다.

중국은 특히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물론 외교 및 당 채널이 모두 동원, 중재 노력을 하고 있어 보인다.

중국의 이런 입장은 25일 루캉(陸慷)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 브리핑에서도 잘 나타난다.

루 대변인은 "중국은 한반도 정세를 시종 우려하고 있으며 상호 자극으로 한반도 정세의 불 위에 기름을 부어서는 안 된다"면서 "자제를 유지해야 하며 감정을 풀기 위해 행동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각국은 언행에 신중해야만 대화를 통해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도달하는 출로를 찾을 수 있다"고도 했다.

그러나 베이징 외교가에선 미중 관계가 우호적이지도 않고 북중 관계도 사상 최악인 상황에서 중국의 이런 중재 노력이 효과를 거두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