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제72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에 참석, "검경 수사권 조정은 국민 인권 보호를 위해 꼭 해야 할 일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 두 기관의 자율적인 합의를 도모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중립적인 기구를 통해 결론을 내겠다"고 언급, 수사권 조정을 반드시 하겠다는 뜻을 재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자치경찰제 도입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며 "지역마다 다른 다양한 지역 주민의 치안 서비스 요구에 적극 부응해야 한다. 12년째 시행 중인 제주자치경찰의 사례를 거울삼아 보다 완벽한 자치경찰제를 전면 도입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만 요구하지 않겠다"며 "국정과제에 포함된 경찰인력 2만 명 증원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일한 만큼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으며 순직'공상자에 대한 예우와 지원을 확대해 가겠다. 경찰관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소방관과 함께 공무원직장협의회 설립 허용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독일의 에버트 재단은 촛불집회에 참여한 대한민국 국민을 에버트 인권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반년에 걸쳐 1천70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민 행동이었지만, 한 건의 폭력도 한 명의 체포자도 발생하지 않았던 데는 성숙한 국민의식과 함께 평화적으로 집회를 관리한 경찰의 노력도 컸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또 "경찰의 눈과 귀가 향할 곳은 청와대나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아니다"며 "오직 국민만 바라보고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경찰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집회'시위 대응에 과다한 경찰력이 낭비돼선 안 된다"며 "평화적 시위문화를 정착시켜 민생치안에 경찰력을 집중할 수 있게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어린이'여성'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에 앞장서 달라"며 "사회적 약자 보호 3대 치안정책을 보다 내실 있게 추진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주기 바란다"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충북 충주에서 막을 올린 제98회 전국체육대회 개회식에도 참석해 축사를 통해 "정부는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을 상생의 구조로 개편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