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리 인상 가능성이 한층 커지면서 급변하는 금융시장 환경에 맞춰 가계부채 축소 등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미국의 본격적인 금리 인상 움직임에 이어 현재 연 1.25%에 묶여 있는 국내 기준금리도 반등 조짐을 보이며 상황이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어서다. "이제 금리가 오르는 일만 남았다"는 전망까지 속속 대두되는 등 가계부채 관리와 위기 대응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세계 금융위기 이후 오랜 저금리 기조 탓에 국내 가계부채가 해마다 가파르게 늘었다. 국회가 분석한 자료를 보면 올해 6월 기준 1천857만 명이 1천439조원의 금융 빚을 지고 있다. 대출자 전체의 3분의 1인 622만 명이 주택을 담보로 938조원을 빌려 썼다. 특히 대출 2건 이상 다주택자의 1인당 빚은 2억2천만원, 모두 292조원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다. 낮은 이자 부담에 빚을 내 집을 사면서 가계부채에 빨간불이 켜진 지 오래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한국은행은 19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했다. 16개월 연속 금리 동결을 결정했지만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금리 인상의 소수 의견이 나오면서 연내 기준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가계 빚이 엄청난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특히 저소득층'다주택자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 등 후폭풍이 일파만파로 커지게 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부동산 대책과 가계부채 대책 마련을 고심하고 준비해온 것도 이런 위기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정부는 8·2 부동산 대책에 이어 2탄으로 내일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한다. 그동안 부동산 보유세 인상을 빼면 나올만한 대책은 거의 다 나왔다는 점에서 10·24 가계부채 대책도 '대출 규제'를 재확인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의 안정적인 부채 관리 자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제 가계도 허리띠를 졸라매야 할 시점이다. 가계가 상황 변화에 적극 대처하지 못한다면 가계 위기는 말할 것도 없고 국가 경제 위기로 발전할 수 있어서다. 정부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가계부채 후유증을 최소화하는데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