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27일 한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을 각각 3%, 2.8%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이날 신용 보고서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올해와 내년 각각 3%, 2.8%로 예상한다"면서 "소득과 혁신 주도 성장에 초점을 맞춘 정부의 조치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디스는 "한국의 기초여건(펀더멘털)이 현재의 신용등급('Aa2')과 등급 전망(안정적)을 뒷받침하고 있다"며 "향후 5년간 약 3%의 성장 여력과 높은 소득 수준을 갖춘 다양화되고 경쟁력 있는 경제가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무디스는 다만 지정학적 위험(리스크)을 신용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무디스는 "북한과의 긴장을 감안할 때 최근 수 개월간 충돌 가능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다"면서 "어떤 무력 충돌이라도 경제와 공공재정에 손상을 주고 정부의 운영과 국가 지급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충돌의 기간이 길고 강도가 클수록 신용도에 더 심각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북한 정권의 붕괴 가능성도 지정학적 위험의 한 요인"이라며 "체제 붕괴가 어떻게 전개되느냐가 한국 경제에 상당 기간 극심한 제약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무디스는 정부의 최근 가계부책 대책에 대해 "가계부채의 높은 수준을 완화할 수는 있어도 경제 성장에 미치는 위험 자체를 제거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한중 정상회담 호혜적 협력관계 증진 공감대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