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스님들이 포교 현장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전법사(傳法師) 제도가 이르면 내년부터 본격 실시된다. 출가하지 않은 신도에게 '포교사'(布敎士) 자격증을 줘 불교 교리를 알리는 제도는 1982년부터 운영되고 있지만, 스님이 직접 속세로 들어가는 전법사 제도를 만드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조계종 총무원은 25일 '전법사 위촉 및 지원에 관한 령' 제정안을 종무회의에서 가결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인들을 대상으로 전법사 자격이 부여될 전망이다.
전법사는 신도 포교 및 계층별'지역별 전법과 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전법, 해외지역 등에서의 전법 포교 역할을 담당한다. 전법사는 1급과 2급으로 구분된다. 2급은 기본교육과정에서 4.5만점에 3.0 이상을 받은 스님으로, 재학 중 사찰과 불교단체, 지역사회 등의 법회에서 교화 혹은 봉사활동 경험이 있으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종단이 주최한 학인설법대회 등에 참가한 경력이 있어도 신청이 가능하다. 1급 전법사는 2급 전법사로 위촉 받은 뒤 각종 전법포교활동을 하고 3급 승가고시 응시자격을 갖춘 스님이면 취득할 수 있다.
전법사 제도를 운용할 조계종 교육원 교육국장 진광 스님은 "젊은 스님들에게 전법포교에 대한 원력을 북돋우고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이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며 "전법사 제도가 정착되면 승랍이 낮은 젊은 스님들도 설법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계종의 스님 전법사 제도 도입은 불교 인구 감소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종교가 있는 인구 비율은 2005년 52.9%에서 2015년 43.9%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불교 인구는 300만 명이나 줄었으며, 출가자도 감소하고 있다. 예비 승려인 사미(남성)'사미니(여성) 수계를 위해 교육받고 있는 사람은 2005년 319명이었으나 지난해 157명으로 급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