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강진…쏟아지는 개선·지원책] 경북도, 발 빠른 대응 눈길

지진 발생 3분 만에 재난대책본부 구성

포항 지진 발생에 따른 경상북도의 발 빠른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15일 규모 5.4 지진이 포항지역에서 발생하자, 경북도는 지난해 9'12 지진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지진 발생 3분 만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했다. 이어 지진발생지역에 있는 월성'한울원전과 포항시 등에 대해 신속하게 지진발생상황을 파악하고, 현지 피해현황 조사를 위해 현장상황지원반을 급파했다.

9'12 지진 당시 현장경험을 발휘한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진발생 직후 포항 지진피해 현장으로 달려가 진앙인 포항시 흥해읍 일대의 피해상황을 살피고 피해 주민을 격려했다. 곧이어 포항시청 상황실에서 행정안전부 장관'포항시장과 함께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어 오랜 기간 대피소 생활을 하는 이재민들이 불편이 없도록 자원봉사자 파견, 대피소 주민의료지원반 운영, 재난심리상담치료 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고, LH와 협의해 이재민 임시거처가 제공되도록 지원에 나섰다.

경북도는 이재민들이 조속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도 건축사협회 및 안전진단 전문가를 추가 지원해 피해 건축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진행했다. 도 예비비 40억원을 긴급 투입해 위험 건축물 응급복구 지원에 나선다.

또 급작스러운 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포항지역 이재민을 돕기 위해 구호성금 모금을 진행하고 있다.

김 도지사는 이낙연 국무총리,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등 주요 인사들의 현장방문 시 직접 동행하면서 피해지역의 신속한 복구 지원을 건의했다. 이에 따라 17일 특별교부세 40억원이 긴급 지원됐으며, 현재 포항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위한 절차와 국회 내 재난특별위원회 구성이 신속히 진행 중이다.

김 도지사는 "포항 지진으로 힘들어하는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피해복구에 더욱 힘쓰겠다"면서 "체계적인 국가 지진방재 연구를 위해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