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지진이나 태풍 등 재해 발생 시 대피소로 사용되는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시설 가운데 90% 이상이 내진 성능을 갖춘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일본 소방청의 '방재거점 공공시설 내진화 추진상황 조사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유사시 대피소로 사용되는 지자체 공공시설 가운데 92.2%가 규모 6의 충격에도 무너질 우려가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조사 당시보다 1.3%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규모 6은 일본의 10단계 기준 가운데 7에 이어 두 번째로 강한 진동이다. 규모 6의 지진은 기어가지 않으면 움직이기 어렵고, 고정되지 않은 가구 상당수가 넘어지며 내진 설계가 되지 않은 목조 주택 가운데 다수가 기울거나 무너지는 수준이다.
내진 성능이 가장 잘 갖춰진 공공시설은 학교 건물과 체육관 등 학교시설(98.1%)이었다. 소방시설(90.4%), 의료시설(89.6%), 사회복지시설(86.5%), 경찰시설(84.9%)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시청 등 지자체 청사는 81.3%로 다른 시설에 비해 내진율이 낮았다.
실제 지난해 4월 구마모토(熊本) 강진 당시 일부 지자체 청사가 파손되면서 주민들은 청사 대신 다른 곳으로 대피하는 일도 있었다.
지역별로는 도쿄(東京)가 98.8%로 가장 높았고 시즈오카(靜岡)'아이치(愛知, 각 97.1%), 오사카(大阪)'미야기(宮城, 각 96.8%)가 뒤를 이었다.
반면 히로시마(廣島)의 경우 81.0%로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 가운데 공공시설 내진율이 가장 낮았다. 나가사키(長崎, 84.8%), 홋카이도(北海道, 85.1%), 나라(奈良, 85.2%) 등도 내진율이 높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만2천337개 동의 공공시설에 대해 이뤄졌다.
현재의 내진 기준이 적용되기 전인 1981년 이전에 건설된 건물도 8만6천6개 동이나 됐다. 이 가운데 내진 진단을 받지 않은 것이 8천371개 동, 진단 후에도 보완공사를 하지 않은 건물도 5천903개 동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