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미사일 도발-韓·美 정상 통화]역대 최장 1시간 대화…'北 핵무력 미완성' 공감대

文대통령 "核 소형화 불분명 재진입 기술 갖춘 ICBM 아냐" 트럼프도 별다른 이견 없어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10시부터 1시간 동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 양 정상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현 상황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협의를 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10시부터 1시간 동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 양 정상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현 상황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협의를 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청와대가 1일 밝혔다.

두 정상은 이날 오후 10시부터 한 시간 동안 전화통화를 하고 이같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설명했다. 지난달 29일에 이어 이뤄진 두 정상의 통화는 이번이 7번째이다.

박 대변인은 "양 정상은 북한이 스스로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기 위한 대화에 나올 때까지 강력한 대북 제재와 압박 기조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강화하는 노력도 함께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이날 통화에서 "어제 발사된 미사일이 모든 측면에서 지금까지의 미사일 중 가장 진전된 것임은 분명하나 재진입과 종말단계유도 분야 기술은 입증되지 않았고 핵탄두 소형화 기술 확보 여부도 불분명하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북한의 '핵무력 완성' 주장을 반박하면서, 북한이 발사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이 재진입 기술 등을 갖춘 완성된 ICBM이 아니라는 인식을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평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별다른 이견을 제기하지 않았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통화를 하면서 "우리가 당면한 과제는 북한이 핵'미사일 기술을 더 진전시키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저지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폐기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또 한 번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ICBM급 '화성-15형' 미사일 발사와 관련, 지난달 29일과 30일 연달아 통화함으로써 상당한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한미 양국이 북한의 도발 징후를 포착하고 실제 도발이 있을 경우 정상 간 대화채널을 신속히 가동할 것을 사전에 약속한 방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30일 통화는 전날에 이어 연이틀 양 정상이 통화한 것인데다 역대 두 정상 간 통화 중 가장 긴 1시간가량 통화를 이어나가 한미 당국자들이 놀라기도 했다. 두 정상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통화할 수 있을 정도의 신뢰관계를 형성한 결과라는 평가도 낳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도발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하루 이틀에 될 일이 아닌 만큼 두 분이 또 통화할 수도 있다"며 "문 대통령도 어제 통화 말미에 '필요하면 더 통화하자는 말씀도 하셨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양 정상 간 통화에서는 평창 동계올림픽이 평화적이고 성공적으로 치러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감대도 형성됐다.

문 대통령은 "동계올림픽에 미국의 고위급 대표단 파견을 결정하셨다는 보고를 받았는데 이에 감사드린다"며 "이런 결정이 조기에 공표된다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세계 각국에 안전한 올림픽에 대한 확신을 주고 북한에도 확고한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고위급 대표단의 파견 결정을 문 대통령이 직접 IOC에 전하는 것도 좋다"고 대답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