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상북도 지진재해원인조사단' 최종 보고회 가져

지하 동공탐사 결과 9곳 발견…지진 피해 시공·구조·감리 탓

경상북도는 건축'토목'수자원'환경'지질'방재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달 15일 포항 지진과 관련해 '경상북도 지진재해원인조사단' 최종보고회를 5일 경북대 제2과학관에서 열었다.

지질분야 조사단은 진앙 인근 동공 여부를 확인하고자 지하 동공탐사(GRP 탐사)를 시행했다. 탐사 결과, 총 9곳의 동공이 발견돼 원인에 대한 추가조사 필요성이 제기됐다. 조사단은 포항시에 발견된 동공 복구를 지시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미조사 지역에 대한 추가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건축 분야 토론 참가자들은 지진 피해 원인 대부분이 시공'구조'감리 문제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관련 제도 개선과 내진설계 미적용 건물 보강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필로티 건축물은 건축 시 전문가 확인과 내진검증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목'수자원'환경 분야에서는 도로 균열, 저수지 제방 및 상수도 균열, 석면 등 특정폐기물 발생 등이 논의됐다. 참가자들은 이와 관련한 조치 방안으로 균열은 '그라우팅'(균열을 시멘트 등으로 채우는 공법) 등으로 보강하고 폐기물 처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협조와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석정수 경북도 지진재해원인조사단장은 "참가자 모두 '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최종보고서를 중앙재해대책본부에 보고해 정부 지진방재책 수립에 적극 반영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