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자살 고위험군 조기 발견 관리

예방 인력 1만 양성 상담 서비스…생명사랑 병원·약국 575곳 지정

막내아들을 잃고 불면증에 시달렸던 안모 씨는 최근 약국에서 수면제를 처방받다 받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안내지 덕분에 큰 위안을 얻었다. 안내지 전화번호로 연락이 닿은 복지센터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직접 방문, 상담을 해줘 속 얘기를 풀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센터 관계자는 "안 씨 사정을 알고 있던 약사가 안내지를 건네 그가 더 나빠지기 전 도움을 줄 수 있게 됐다. 지속해서 심리상담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했다.

경상북도가 자살률을 줄이고자 '자살 위험 대상자' 조기발견 등을 위한 종합적인 자살예방 정책을 추진한다. 경북도의 자살률이 타 시도에 비해 높다는 판단에서다. 5일 경북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경북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8.8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3.2명 많다.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은 50.4명으로 전체 자살자의 31.4%에 이른다.

경북도는 우선 자살 고위험군 발굴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자살 시도자를 사전에 발견하고 이들에게 정신건강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자살시도 예방 '수문장' 역할을 할 '게이트키퍼'를 1만 명 양성하고, '생명사랑' 병원과 약국 575곳을 지정할 계획이다. 게이트키퍼는 이'통장과 부녀회장, 생활관리사, 요양보호사, 사회복지 공무원, 병원'약국 종사자 등 지역주민들로 한국형 자살예방교육인 '보고'듣고'말하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이들은 주변에서 자살 위험 대상자를 발견했을 때 전문기관에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자살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한다.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와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15곳, 보건소 25곳, 정신의료기관 등이 이 일을 맡는다. 이들은 자살 고위험군 발견 시 정신건강을 돕고자 적극적으로 개입해 검사와 사례 관리, 치료 기관 연계 등으로 지속적인 예방에 나선다.

자살을 재시도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사후관리는 물론 유가족 심리지원도 함께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자살시도자는 1년 내 자살 재시도율이 16%에 이른다. 한 번 목숨을 건진 후에라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응급실을 찾는 자살 시도자에 대해 응급의료기관과 협력,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고, 심리치료를 지원한다. 유가족에 대해서는 면담을 통해 고인의 죽음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기회를 제공, 죄책감과 자기 비난에서 벗어나 건강한 애도를 시작하도록 유도한다. 농촌지역의 충동적인 음독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생명사랑마을'을 추가로 지정하고, 노년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인 '마음건강 백세' 사업도 확대 운영한다.

이원경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자살 고위험군 발견에서부터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자살 재시도 예방을 위한 추후 관리까지 도민 생명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