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檢, MB 정권 국정원 불법 자금 수수 추가 포착

검찰이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에 건네진 국가정보원의 새로운 불법 자금을 추가로 포착해 수사에 나섰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국정원 뇌물 자금과 다른 '새로운 돈'으로 전해졌다. 불법 자금 수수 과정에 이명박 전 대통령의 관여나 지시 여부가 드러날 경우 국정원 돈 상납 의혹과 관련해 이 전 대통령이 받는 혐의액이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이날 오전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현 성균관대 교수'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의 대학 연구실과 재단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문서자료와 컴퓨터 저장장치 전산파일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장다사로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의 사무실에 대해서도 함께 압수수색에 나섰다.

검찰은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 박 전 장관이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내면서 국정원에서 불법 자금을 수수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장관은 이명박 정부에서 정무수석, 국정기획수석,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마지막 기재부 장관을 지냈다.

검찰은 장 전 기획관도 국정원 돈 수수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득 전 의원의 보좌진이었던 장 전 기획관은 이명박 정부에서 정무1비서관과 민정1비서관을 지냈고, 2011년 'MB 집사'로 불렸던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 자리에서 물러나자 뒤를 이어받았다.

장 전 기획관은 최근까지도 이 전 대통령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참모 역할을 하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장관과 장 전 기획관이 수수에 관여한 국정원 자금이 기존에 드러난 국정원 상납 자금과는 별개의 자금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검찰은 김 전 기획관이 수수에 관여한 국정원 자금이 총 4억원이라고 파악했다. MB 측근이었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은 2011년 김윤옥 여사 보좌진에게 10만달러(약 1억원 상당)를 건넸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검찰은 또 2011년 김진모 전 청와대 민정2비서관이 '민간인 사찰 입막음'과 관련해 국정원에서 5천만원을 전달받은 사실도 파악했다. 현재까지 드러난 국정원 돈 수수 규모만 5억5천만원인 셈이다.

검찰의 이날 압수수색으로 이명박 정부 국정원이 청와대에 건넨 불법 자금 규모는 기존에 드러난 액수에서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장관과 장 전 기획관이 관여한 국정원 자금 규모는 억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자금 수수 과정에서도 이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날 경우 이 전 대통령이 받는 혐의액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앞서 검찰은 전날 국정원 돈 불법 수수와 관련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및 국고손실 혐의로 전날 김 전 기획관을 구속기소하면서 이 전 대통령이 '주범'으로서 불법 자금 수수를 지시했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