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대가야체험축제가 '新4國의 개벽'을 주제로 12~15일 고령군 대가야읍과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일대에서 열린다.
주제 '新4國의 개벽'은 1천500년 전 강력한 철(鐵)문화를 바탕으로 고유의 역사와 찬란한 문화예술을 꽃피웠던 대가야를 비롯한 가야문화권이 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당시의 부흥을 재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올해 축제는 문재인 정부가 '가야사 복원'을 국정과제 중 하나로 채택한 가운데 치러지는 데다, 영호남을 아우르는 국가적 대통합 축제로 이어갈 방침이라 동서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또 국제학술대회와 페스티벌을 통한 가야문화의 세계화, 영호남을 아우르기 위한 화합과 소통, 가야금 만들기 등의 체험, 축제와 IT 융합을 위한 게임 형식의 가야문화 킬러콘텐츠를 통한 한층 젊어진 축제가 특징이다.
이번 축제에는 가야문화권 5개 시'도의 22개 시'군이 모두 참여한다. 시'군은 각각 부스를 마련하고, 보유하고 있는 독특한 가야문화를 소개한다. 22개 시'군의 가야문화를 연결하면 1천500년 전 당시의 가야문화와 가야권 세력이 얼마나 거대하고 찬란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존에서는 뮤지컬과 마당극, 세계 '현' 페스티벌이 열리고, 스토리텔링존에서는 스마트폰 게임과 가야금'방패 제작 체험이 마련돼 있다. 또 대장간과 순장 체험을 비롯해 딸기 수확까지 20여 가지의 각종 체험이 준비돼 있고, 야간에는 해설사와 함께 고분군 야간 트레킹도 할 수 있다. 제18회 대가야왕릉제'제39회 악성우륵추모제 등 9개 연계 행사와 세계 현 페스티벌과 대가야고상가옥 생활체험 등 8개 부대행사도 진행된다.
축제장 주변으로는 보물 제605호 장기리 암각화와 낙동강 문화 발원지인 개경포 공원, 영남학파 종조인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여 년째 살고 있는 개실마을과 가야금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가얏고 마을 등이 산재해 대가야의 문화를 다양하게 둘러볼 수 있다.
곽용환 군수는 "대가야체험축제의 성공은 현 정부의 가야문화와 고령군에 더 큰 관심을 불러일으킬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