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전기차 사고 시 수리비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리할 수 있는 정비소가 턱없이 부족한데다 핵심 부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기 때문이다.
한국GM의 전기차 쉐보레 볼트EV를 보유한 정모(64) 씨는 최근 내리막길에서 돌멩이에 차량 하부를 부딪혀 수리를 맡겼다가 청구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돌덩어리는 식빵만 한 크기였지만 수리비가 무려 1천700만원이나 됐던 것. 자동차업체 직영 정비소 측은 애초 자동차 하부 커버와 알루미늄 강판 부속 파손 정도로 50만원 정도면 될 것으로 판단했지만, 수리과정에서 파손된 부분이 고전압 전류가 지나가는 통로라며 배터리팩 전체 교환을 권유했다. 결국 정 씨에게 날아든 수리비 청구 금액은 1천755만원에 달했다. 정 씨는 "전기차는 핵심부품인 배터리가 자동차 하부에 설치돼 있는데도 배터리팩 보호가 미흡했던 것"이라며 "돌에 부딪힌 사고의 수리비로는 너무 지나치다"고 불평했다.
해당 정비소 측은 배터리팩은 100개 이상의 배터리 부품과 냉각팬 장치, 컨트롤모듈 등이 함께 밀봉된 복합 부품이라 가격 자체가 비싸다고 해명했다. 정비소 관계자는 "돌에 맞아 파손된 부분이 전기차의 구동모터를 가동시키는 전류변환장치인 인버터였다"면서 "배터리 제조사도 케이스가 찌그러진 상태에서 부분 수리는 폭발위험이 있다고 경고해 배터리팩 전체를 바꿀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전기차 대부분에 해당한다. 현대차의 아이오닉 전기차도 배터리팩에 해당하는 배터리시스템어셈블리 가격이 1천500여만원에 이른다. 10년, 20만㎞까지 무상보증을 제공하지만 정 씨처럼 사고로 파손되거나 침수 등으로 고장 나면 무상 보증을 받을 수 없다.
이에 대해 노상현 대구공업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는 아직 대량생산이 어려워서 핵심 부품가격이 비싸고 수리 능력을 갖춘 정비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