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문화원연합회, 구·군별 출판물 모음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지원 사업

대구 문화원연합회 지역문화 콘텐츠 모음집/ 각 구·군 문화원/ 시선과 프레임 등 펴냄

대구 문화원연합회 발간 각 구
대구 문화원연합회 발간 각 구'군별 출판물 모음

대구광역시 문화원연합회(회장 김성수)가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지원 사업의 결과물로 각 구·군 문화원 별로 출간물을 발간했다. 18일(수)에는 프라임 캐슬 테라하우스홀에서 출판기념회 및 언론보고회도 가졌다.

이 사업은 지역문화 콘텐츠 활용 기반을 만들기 위해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전국 231개 지방문화원이 손잡고 시행한 사업으로 정부 예산 168억여 원이 투입됐다. 생활문화, 민속, 역사 등 지역의 향토문화자원을 원천콘텐츠 개발 소재로 삼아 e-book, 애니메이션, 뮤지컬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진 콘텐츠는 185개에 달한다. 지역특화 부문에서는 대구광역시 문화원연합회가 '스마트 팔공산' 사업과 E-Book으로 발간된 '팔공산을 오르다'(유산기 편), '팔공산을 노래하다(유산시 편)'을 소개했다.

'스마트 팔공산' 사업은 팔공산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사이버 팔공산' 플랫폼 구축사업으로 역사, 문화유산, 자연경관 등 240개 글을 통해 팔공산의 역사문화콘텐츠를 제공한다.

원천콘텐츠 일반 부분에서는 이 사업에 참여한 각 구·군 문화원이 펴낸 출판물이다. ▷중구문화원 '장소의 시간, 그림이 되다.'(E-Book) ▷동구팔공문화원 '팔공산재 범패'(E-Book) ▷서구문화원 '날뫼의 무형문화재와 비산농악'(E-Book) ▷북구문화원 '사라져 가는 대구 북구지역의 토속민요'(디지털 음반) ▷수성문화원 '국역 계동 선생 문집'(E-Book) ▷달서구문화원 '감새미 마을, 시간을 붙들다'(E-Book) ▷달성문화원 '달성, 마음을 품다'(E-Book)이 발간됐다.

서구문화원(원장 박수관)에서 발간한
서구문화원(원장 박수관)에서 발간한 '날뫼의 무형문화재와 비산농악' 중 천왕메기의 일곱번째 과정인 '천왕굿'(p 64)

중구문화원의 '장소의 시간, 그림이 되다'는 중구 문화예술 중 음악, 미술, 영화, 연극과 관련된 자료와 관련 인물 인터뷰가 담겼다. 동구팔공문화원 '팔공산재 범패'는 팔공산재 범패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서구문화원 '날뫼의 무형문화재와 비산농악'은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2호 날뫼북춤, 제4호 천왕메기, 제19호 동부민요와, 비산농악의 유래, 설화, 그 외 서구지역의 유·무형 문화재와 보물 등을 하나의 내용으로 엮었다. 북구문화원 '사라져 가는 대구 북구지역의 토속민요'는 사라져가는 북구지역 토속민요를 디지털 음반으로 기록·보존했다. 수성문화원 '국역 계동 선생 문집'은 수성구 전통문화 기초문헌 번역사업의 일환으로 정신문화 기초를 제공한 계동 전경창 선생의 문집(계동 선생문집), 계동 전경창의 학계안 및 문헌자료를 번역했다.

달서구문화원 '감새미 마을, 시간을 붙들다'는 '살미들' 사람들의 생활사 유물 아카이브 작업의 일환이다. 혜산 선생이 수집한 대구 서쪽 낙동강 주변 '살미들' 사람들의 근대사 유물 15,000여 점에 대한 체계화했다. 달성문화원 '달성, 마음을 품다'는 달성군의 자연마을 스토리를 핸드북 및 E-Book으로 담았다. 달성군 소재 자연마을에 대한 정보와 현재 모습에 대한 드론 및 세부 사진, 자연마을 전경을 확인하는 과거 사진 등이 담겼다.

대구 문화원연합회 김성수 회장은 "각 구·군 문화원이 지난 한 해 동안 발굴한 지역의 원천콘텐츠에 큰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팔공산재 범패 177쪽 외, 비매품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