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빅데이터 공공분야 활용과 성장하는 산업

공공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이 늘고 있다. 안전과 교통, 건강 등 다양한 영역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인력도 늘면서 빅데이터가 새로운 산업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은 지난 달 27일 오후 SW융합기술지원센터에서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추진현황 및 지역적용 사례'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발표에 나선 김민재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은 CCTV 사각지대 선정과 시내버스 효율화, 공동주택 관리비 투명성 제고, 지역관광 활성화 등 공공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했다.

수원시의 경우 빅데이터 정보를 CC(폐쇄회로)TV 사각지대에 선정에 활용했다. 범죄 발생 현황 데이터를 활용해 범죄 다발 지역에 대한 위험지수를 개발했다. 기존에 설치된 CCTV 현황을 바탕으로 한 CCTV 취약지수와 유동인구 분포지수 등을 적용해 CCTV 우선 설치 지역 420곳을 발굴했다.

광주시는 시내버스 효율화에 빅데이터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대중교통 사각지대 6곳과 환승 편의시설 설치 위치 50곳을 선정했다. 또 일요일 축소배차 노선과 저상버스 노선 도입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도 활용했다.

공공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이 활발해지면서 데이터산업 시장은 해마다 성장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는 14조3천47억원으로, 2016년 13조7천547억원보다 4%가 증가했다. 이 시장은 2010년 8조6천374억원이던 규모에서 지난해까지 연평균 7.5%의 증가율을 보였다.

더불어 데이터산업 내 빅데이터 인력도 2016년 5천806명에서 2017년 6천324명으로 8.9%가 늘었다. 같은 기간 빅데이터 관련 필요인력도 1천259명에서 1천380명으로 증가했다.

김민재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은 "공공영역에서 빅데이터 신규 분석과제를 발굴해 추진하는 경우가 확산하고 있다. 올해는 빅데이터 기반의 쌀 생산 예측과 소비와 실직 사전 예측, 산업재해 예방 등의 신규과제가 진행되고 있다"며 "지역의 관련 업체들도 빅데이터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