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상훈 "혁신도시, 공공기관은 갔지만 기업은 안 갔다"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

전국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과 연관된 기업의 현지 입주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와 연계된 클러스터내 기업 입주 용지 중 실제 입주는 20%에 불과하고, 입주기업 10곳 중 6곳은 이전 공공기관과 연계성이 떨어져 대책 마련이 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대구 서구)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혁신도시 기업 입주 현황'에 따르면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성된 혁신 클러스터 면적 312만 4천㎡ 중 실제 기업 입주로 이어진 면적은 63만 3천㎡로 20.3%에 불과했다.

실제 입주율이 가장 높은 혁신도시는 대구로, 85만 8천㎡중 39만 4천㎡에(45.9%) 기업이 들어왔다. 다음으로 울산(19.1%), 경남(16.7%), 전북(14.8%)이 그 뒤를 이었으며, 강원(5.6%), 충북(7.3%), 경북(9.8%)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혁신도시 입주 기업 수는 지난 6월 현재 639개사였으나, 광주전남(190개사), 부산(134개사), 대구(106개사), 경남(91개사) 4곳이 81.5%를 차지했다. 제주는 입주기업이 한 곳도 없었다. 전북(4개사), 충북(19개사) 또한 많지 않았다.

혁신도시 입주 기업 중 이전 공공기관과 연계된 기업의 비율은 41.8%(267곳)로 절반에 못 미쳤다. 특히 대구(106개사) 및 충북(19개사)의 경우 입주 기업 모두가 해당 지역에 이전한 공공기관과 무관한 기업이었다.

김상훈 의원은 "현재 혁신도시엔 기관은 있지만, 기업은 없는 '나 홀로 도시'인 면이 없지 않다. 국토교통부는 하루빨리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