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염색공단 비리 의혹, 철저히 따져 엄벌해야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의 비리 의혹들이 최근 잇따라 불거지고 있다. 경찰이 일부 의혹을 수사 중인 가운데 이해할 수 없는 또 다른 의혹들이 제기되면서 염색공단이 마치 복마전 양상마저 보이고 있다. 염색공단이 들어선 뒤 주변 주민들이 각종 악취에 시달리는 현실을 감안하면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공단 운영에 대한 따가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올 만도 하다.

사실 대구염색공단을 둘러싼 의혹이나 비리 문제는 어제오늘만의 일은 아니다. 1980년 곳곳에 흩어진 염색공장을 모으고 염색가공 기술 수준 향상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대구 섬유산업 도약이라는 공단 출범 취지는 어느덧 퇴색되고 비리 의혹의 악취만 풍기는 꼴이다. 공단 운영 관련 각종 사업들이 여럿이고 납품 업체들 간 치열한 경쟁, 투명하지 못한 경영 등이 겹쳐 빚은 결과인 셈이다.

이번에 일어난 공단 발전용 유연탄 공급 계약 과정의 논란도 같은 맥락이다. 공단이 업체 선정을 앞두고 특정 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의심스러운 행동을 하면서 의혹을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다. 정해진 규정과 절차대로 투명한 계약을 진행하지 않은 탓이다. 이에 앞서서 제기된 약품 납품 업체에 규정에도 없는 발전기금을 3억원이나 받은 일도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이처럼 최근 들어 공단을 둘러싸고 논란이 되는 숱한 의혹의 피해자는 결국 공단을 믿고 성실하게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일 수밖에 없다. 의혹을 넘어 결국 비리로 이어지면 납품 과정에서 생기는 물품 불량과 하자로 인한 손실이 기업에 그대로 전가되는 악순환은 피할 수 없다. 지금까지 제기된 각종 의혹의 철저한 수사로 악순환 고리를 끊고 재발을 반드시 막아야 하는 까닭이다.

특히 염색공단이 들어선 서구 비산동 등 일부 지역 수만 명 주민들이 악취와 공해로 겪는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따지면 공단의 뭇 의혹과 비리는 결코 그냥 둘 수 없다. 주민 고통은 아랑곳 않고 오로지 자신들의 잇속이나 검은 배를 채우는 것은 용서할 수 없는 일이자 범죄나 다름없다. 공단은 투명한 운영과 자정(自淨)에 나서고, 사법 당국은 비리를 밝혀 엄벌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