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력수요 역대 최고치 경신했음에도.. 전력부족 없었다

올여름 재난 수준의 폭염으로 냉방 사용이 폭증하며 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수차례 경신했음에도 우려했던 전력부족은 일어나지 않았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공급예비율은 7월 23~27일, 8월 13, 14일 등 7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을 유지했다. 최대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찍은 7월 24일 한 때 예비율이 7.7%까지 낮아지기도 했지만, 이 때도 공급예비력(공급가능한 전력에서 수요를 뺀 수치)은 709만kW로 비교적 충분했다. 예비력이 500만kW 이하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위기경보 준비단계에 돌입하는 점을 감안하면 여유가 있었던 셈이다.

올해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전기 사용 자체를 줄이는 수요관리 정책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공급이 충분했다. 기업이 전기 사용을 줄이면 정부가 보상하는 수요감축요청(DR)은 지난 겨울에도 10번 사용됐지만 올해 정부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판단한데다 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DR를 발령하지 않았다.

전기요금 부담도 우려만큼 크지 않았다. 한국전력공사가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전국 874만가구 전기요금을 분석한 결과 올여름 전기요금이 늘어난 가구의 평균 증가액은 1만7천원 수준이었다. 작년 여름보다 전기요금이 10만원 이상 증가해 이른바 ‘요금 폭탄’을 맞은 가구는 전체의 1.4%에 불과했다.

고비를 무사히 넘긴 데는 올해 들어 전력공급능력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산업자원통상부는 올여름 사상 최대 수준의 공급능력을 확보했고, 전력수요가 폭증하는 8월 중순에는 공급능력이 1억만kW까지 늘었다. 이후 전국 기온이 전반적으로 내려가면서 8월 24일 이후에는 평일 공급예비율이 20% 이상을 유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