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륙 최대 수출기지로 불리우는 구미의 수출탑이 무너지고 있다.
구미의 수출 비중은 한때 전체 10%대까지 올랐으나 올해는 4%대로 급락해 수출도시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됐다.
17일 구미세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구미지역의 수출액은 171억2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7억9천200만 달러에 비해 3.9% 줄었다.
이런 실적 추세라면 구미시가 올해 목표한 수출 300억달러를 채우기엔 턱없이 부족할 전망이다.
구미의 수출액은 2013년 367억달러로 정점을 찍었으나 2014년 325억달러, 2015년 273억달러, 2016년 247억달러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지난해에는 283억달러로 소폭 늘었지만 올 들어 다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저조한 수출 실적 속에 구미의 전국 수출 비중도 꾸준히 줄어 이달 들어선 4.3% 수준에 불과하다.
구미의 전국 수출 비중은 2005년 10.7%에서 2007년 9.4%, 2009년 8%, 2010년 6.0%, 2014년 5.6%, 지난해 4.9%로 계속 감소하고 있고, 올 들어선 4.3%대로 급락했다.
무역수지 흑자액 역시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102억3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6억6천500만달러에 비해 4.3% 감소했다.
구미의 수출 부진은 구미 수출 실적의 70% 정도를 차지하던 전자제품의 수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 올해는 55%대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지역의 경제 전문가들은 대기업의 중국·베트남 등 해외 이전과 수도권 규제 완화로 인해 기업 투자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구미의 수출 실적에 공동화 현상이 초래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美와 말다르다? 대통령실 "팩트시트에 반도체 반영…문서 정리되면 논란 없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