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2020년까지 1천835억원(국비 680억원)으로 전국 8곳에 세울 국민안전체험관의 입지 선정을 두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체험관 건립은 재난 상황에 대비한 안전 체험 시설이 충분하지 못한 곳에 번듯한 시설을 갖춤으로써 각종 재난에 대비하는 주민들의 대응 능력을 높이려는 취지에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입지를 살피면 선정의 공정성을 의심받고도 남을 만하다.
정부는 서울·인천·광주·울산시와 경기·충북·경남·제주에 120억(충북)~315억원(서울)을 들여 대형 3곳(서울·광주·경기), 중형 3곳, 특성화체험관 2곳(인천·울산)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의 경주 지진과 2017년 지진이 일어난 포항이 있는 경북은 제외됐다. 두 지진으로 아직까지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는 이들 지역민들의 강한 반발은 마땅하다.
특히 전국에서 운영 중인 시·도별 체험관 155개 분포를 보면 정부의 이번 결정에 대한 의혹은 자연스럽다. 서울과 경기에는 이미 31곳과 33곳, 경남과 인천도 13곳과 8곳이 있다. 울산·충북이 각 6군데, 광주·제주 역시 각 4군데의 체험관을 갖췄다. 전국에서 가장 적은 2곳의 대구는 물론, 다른 곳보다 많은 인구에도 6곳뿐인 경북이 빠졌으니 선정의 공정성은 더욱 의심스럽다.
이번 정부 조치는 한마디로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를 허무는, 정치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더라도 대구를 뺀 결정은 납득할 만한 합리적 근거도 없다. 경주와 포항 같은 대형 재난 우려 현장조차 외면한 행정은 더욱 그렇다. 말하자면 이들 지역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아예 관심 없다는 선언이나 다름없다. 지금이라도 속히 바로잡을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