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231곳 당협위원장 일괄 사퇴, 인적 쇄신 신호탄되나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전국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당협위원장) 일괄 사퇴를 결정했다.

한국당은 20일 비대위 의결에 따라 전국 253개 중 사고당협 22개를 제외한 총 231곳 당협위원장 전원이 10월 1일 자로 사퇴하게 된다고 밝혔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내부 반발이 있겠지만 당이 비상사태라는 것은 모두 인정할 것이다. 선당후사의 정신에서 이해해주시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당규에 따르면 당 최고위원회의(비대위)가 해당 시·도당위원장과 사무총장의 의견을 청취한 후 해당 당협위원장의 사퇴를 의결한 경우 해당 당협위원장은 사퇴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전날 당 시·도당위원장 간담회를 통해 당협위원장 총사퇴와 관련한 의견을 수렴했다.

한국당은 추석 직후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당협에 대한 심사·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거쳐 기존 당협위원장이 재임명되거나 신임 위원장을 선정하게 된다.

이번 당협위원장 교체가 한국당의 인적쇄신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비전과 가치를 설정하는 작업을 한 다음 당내 혁신을 하고, 인적 쇄신에 대해 안 한다는 이야기를 한 적은 없다. 언젠가는 올 수도 있다고 했다"며 "모든 것이 12월쯤 완료가 돼지만 (내년) 2월쯤 전당대회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과 올해 지방선거 패배의 책임이 있는 박근혜계와 홍준표계 인사들이 교체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당협위원장은 국회의원 각 선거구의 조직 책임자로 통상 현역 국회의원이 당협위원장을 맡는다. 현역 국회의원이 당협위원장직을 박탈당할 경우 2020년 총선에서 공천 받을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한국당 국회의원 112명 중 비례대표 의원 등을 제외한 95명이 현재 당협위원장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