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의회가 7월 출범 이후 잇따른 시의원들의 겸직 규정 위반과 상주시 관련 특혜 의혹으로 시끄럽다. 결국 감사원이 의혹 규명을 위해 상주시 감사에 나섰고, 시의회도 부랴부랴 윤리특별위원회를 구성, 해당 의원에 대한 징계를 결정했다. 의회가 바람 잘 날이 없을 만큼 어수선하니, 주민 의정 활동은 아예 뒷전인 셈이다.
논란은 시의원 활동으로 겸직이 금지된 규정을 어긴 두 시의원에서 비롯됐다. 한 시의원은 뒤늦게 규정을 지킨 반면, 다른 시의원은 지금도 규정 위반 중이다. 시의회 윤리특위가 겸직을 포기한 시의원에 공개 경고를 했고, 겸직을 고집한 시의원은 가장 강한 제재로 본회의 가결 경우 의원직도 잃는 ‘제명’을 결정한 까닭이다.
겸직 논란 보다 더욱 심각한 일은 또다른 두 시의원의 의혹이다. 4선의 한 시의원은 처남 회사에 상주시 발주 일감을 무더기로 몰아준 의혹이고, 다른 시의원은 상주시의 보조금을 크게 증액받은 의혹을 사고 있어서다. 두 경우는 세금과 예산의 부당한 집행과 관련되는 일이기도 하다. 감사원이 특별감사반을 보내 상주시를 상대로 감사하는 까닭도 같은 맥락이다.
앞으로 두 의원 징계에 대한 본회의 결정과 또다른 두 의원 관련 감사원 결과를 두고 봐야 하겠지만 이번 논란과 의혹만으로도 우리는 무엇보다 이들 시의원 4명의 자질과 의원으로서의 자격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주민 대표로서 이럴 수는 없다. 성실 의정 활동을 다짐한 선서 이후 불과 1~2개월 만에 스스로 맹세를 어긴 실망스런 작태는 이 기회에 엄히 경계할 만하다.
감사원은 시의원 관련 의혹을 모두 밝히고 상주시와의 유착 여부도 살펴야 한다. 아울러 이후 수사 당국의 진상 규명을 위한 조치 역시 필요하다. 특히 시의회는 18일 예정된 본회의를 통해 제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나오지 않도록 엄정한 자정(自淨) 행동을 보여야 한다. 의회 위상은 물론, 상주시민을 위해서라도 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