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멸종위기종 산양 보호센터 건립 무산되나

일반인 관람시설 없이 보호시설만 추진, 매년 운영비 8억원도 지자체 부담
울진군 난색 ‘국가 직영시설 건립’ 건의키로

강원도와 양양군이 추진 중인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설치 예정지에서 환경단체가 설치한 무인카메라에 촬영된 산양. 연합뉴스
강원도와 양양군이 추진 중인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설치 예정지에서 환경단체가 설치한 무인카메라에 촬영된 산양. 연합뉴스

멸종위기종 1급인 산양을 보호하기 위한 울진 산양구조·치료센터(가칭) 건립(본지 2017년 3월 16일 자 12면 보도 등)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산양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일반인에게 시설을 공개해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하겠다는 애초 목표와 달리 최소한의 보호시설만 들어서고, 매년 8억원 이상의 운영비 부담 또한 떠안게 되면서 울진군이 건립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천연기념물 217호이자 멸종위기 1급인 산양은 울진 인근에 국내 최대 개체 수인 100여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하지만, 특별한 치유시설이나 연구기관이 없어 정확한 개체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매년 10마리에 가까운 숫자가 굶어 죽거나 차에 치여 목숨을 잃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울진군은 지난 2014년부터 북면 구수곡 인근에 예정지를 정하고 산양 보호시설에 대한 계획을 세워 정부 부처의 문을 두드려 왔다.

환경부와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2월 울진군의 요청을 받아들여 '센터 설계 관련 국비 교부 및 설계지침'을 승인하고 우선 설계용역을 진행했다.

용역 결과 사업비는 울진군의 기대와 달리 최소금액인 30억원(국비 21억원)이 책정됐으며 시설 운영비에 대한 예산 신청도 거절됐다. '센터 운영비와 인건비 등은 기타 시설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지원할 수 없다'는 것이 환경부의 대답이었다.

이에 울진군의회를 중심으로 센터 건립에 대한 반대 의견이 높아지자 전찬걸 울진군수는 센터 건립을 기초단계부터 재검토를 지시했다. 또 오는 15일 환경부 등을 방문해 센터 건립 및 운영의 문제점을 전달하고 산양 보호를 위해 국가직영 시설 운영을 건의하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