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변관리
반려견을 키울 때 배변훈련만 잘 되더라도 신경 쓸 일이 반 이상은 준다. 가장 좋은 방법은 반려견이 태어난 후 1개월 이상 훈련이 잘 된 어미 견과 함께 생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배변훈련이 안 된 경우라도 보상을 통해 교육을 할 수 있다. 배변 패드에 간식을 몇 개 올려두거나 패드에 용변을 본 직후 간식으로 칭찬을 해주는 방법이 있다. 반려견이 어린 경우 배변 실수를 했을 때 패드 냄새를 맡게 하거나 반려견을 패드 위로 올려두면서 잘못을 인지하게 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2. 질병 관리·예방접종
'예전엔 시골에서 접종 없이 잘도 키웠는데 무슨 예방접종?' 하는 사람도 있겠다. 최근엔 반려견의 집 안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고 사람과 함께 지내면서 더욱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면서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반려견의 예방접종은 생후 6주 후부터 5차에 나누어 진행된다. 생후 24개월이 지나면 접종 주기가 1년에 한 차례로 줄어든다. 예방접종의 종류는 광견병, 홍역, 심장사상충, 피부 장염 등이 있다.
3. 식단관리
최근 반려견 주인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 바로 식단이다. 진돗개를 제외하면 비숑, 닥스훈트, 파피용 등 대부분이 외국에서 물 건너온 견종이다. 새로운 환경에서 번식해 온 세월도 무시할 수 없지만 각자 타고난 음식 습관과 본성이란 게 있다. 생선류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피부병이 잦은 반려견도 있다. 키우고 싶은 견종을 선택했다면 반려견에 대한 공부는 필수다. 사람에게도 체질이 있듯 반려견이 좋아하는 식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옆집 반려견이 먹는 비싼 사료가 우리 집 강아지에게도 최고일 거란 생각은 금물.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