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제3차 석유파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신흥국 경제를 뒤흔들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4일 한국금융연구원이 격주로 발간하는 금융브리프에 게재된 '제3차 석유파동 및 신흥국 경제위기 발생 우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해 브렌트유 12월 인도분 가격은 4년 만에 최고치인 배럴당 84.73달러까지 올랐다. 2006년 브렌트유 선물 가격의 세 배, 지난해 여름의 두 배 수준으로 훌쩍 뛴 것이다.
하지만 복잡하게 얽힌 정치·외교 문제가 산적해 있어 앞으로도 원유 공급량이 쉽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제재에 따른 이란 원유 수출 금지가 원유 공급량에 큰 타격을 줄 공산이 큰데다, 세계 3대 산유국인 러시아 등이 원유 증산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세계 12위 산유국 베네수엘라는 정정불안으로 지난해 원유 생산량이 28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세계 원유 재고량도 감소 추이를 보여 갑작스럽게 원유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 충격을 흡수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며 "특히 공급 차질 속에 유가가 급등할 경우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신흥국의 경우 실물경제가 고스란히 위협에 노출된다"고 지적했다.
유가 상승에 따라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투자와 고용이 급감할 수 있으며, 심각할 경우에는 국가 디폴트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