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골퍼들 중 대다수는 '백돌이'(평균 100타 안팎)로 보면 된다. 보기 플레이어(평균 90타) 정도만 되도 훌륭한 수준이다. 물론 싱글(70대 타수) 또는 싱글 상당(80대 초반)이면 남들의 부러움을 살 정도로 고수급 반열로 평가받는다.
일반적으로 백돌이들은 애환이 많다. 한마디로 골프 수난사이자 개인 흑역사로 도배를 한다. 내기 골프에서 돈을 많이 잃고, 불쌍하게 돌려받기 일쑤다. 타당 1만원 내기 골프에서 싱글 고수들에게 총 80만원의 핸디를 받고도, 개인돈 30만원을 더 잃었다는 한 백돌이의 슬픈(?) 사연은 다른 백돌이들에게도 남 얘기처럼 들리지 않는다.

이번 주 주제는 '백돌이의 애환'이다. 100대가 90대로 진입하면 백파(百破), 90대가 100대로 올라가면 월백(越百)이라고 한다. 계속해서 100대에 머무르면 '계백장군'이라고 칭호를 받게 된다. 결코 자랑스런 닉네임이 아니다. 일종의 조롱이다.
백돌이의 5대 기준이 있다. 첫째 백(back)티에서 치기, 둘째 백세이상 골프장 나가기, 셋째 연간 100회 이상 나가기, 넷째 매일 백개 이상 연습볼 치기, 다섯째는 골프를 엉망으로 치고 백알(중국 독한 술 '빼갈'을 의미)으로 상한 마음 달래기.
백돌이의 꿈은 물론 올파(All Par)이겠지만, 연속파라도 해봤으면 하는 바램이 더 현실적이다. 4개 홀 연속 파를 '아우디', 5개 홀은 '올림픽'이라고 한다. 6개 홀은 '실력파', 7개 홀은 남자농구의 전설의 슈터 '신동파'라고 부른다. 8개 홀은 '파생충'(파(par)만 생성하는 벌레), 9개 홀은 '구파발'이라고 신조어가 생겨났다.
남들은 18홀 라운딩을 한 번하는데 일반적으로 보통 만보를 걷는데, 이백두(202) 보만 걷는 백돌이 골퍼가 있다고 한다. 바로 중국의 3대 시성인 '이백-두보-백거이'를 말한다. 골프는 지독하게 못치면서, 걷지도 않고 카트에만 앉아 있는 게으름뱅이를 빗댄 것이다.
최신 유행 골프용어도 소개한다. 어려운 파(Par)를 잡아 니어리스트를 차지하는 골퍼를 롯데그룹에서는 '파이오니어'라고 한다. 반대로 쉬운 파를 놓쳐 니어리스트마저 못먹는 골퍼는 엔지니어 즉, 'NG니어'라고 부른다. '정비공'은 '정답이 없고, 비밀이 없고, 공짜가 없다'는 줄임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