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통신지하구 3곳 중 2곳은 화재 무방비 노출

소방법 관리 대상 포함안돼…KT 자체 점검에 그쳐

24일 오전 11시 12분께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의 KT 아현빌딩 지하 통신구에서 불이 나 소방관들이 화재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오전 11시 12분께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의 KT 아현빌딩 지하 통신구에서 불이 나 소방관들이 화재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KT 서울 아현지사 지하통신구 화재로 대규모 통신장애가 발생한 가운데 대구의 지하통신구 3곳 중 2곳이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에서는 1994년 11월 남대구 전신전화국 앞 지하통신구에서 불이 나 대구시내 전체 유무선 전화 및 금융통신망이 마비된 적이 있었다.

26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대구에 설치된 KT 지하통신구는 모두 27곳이다. 이 가운데 소방관리대상으로 스프링클러 등 연소방지시설을 갖추고 2년마다 소방당국의 점검을 받는 곳은 9곳에 불과하다. 연소방지설비는 연소방지 전용 헤드나 스피링클러를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해 지하구의 화재를 방지하는 설비다.

통신지하구는 폭 1.8m, 높이 2m, 길이 500m가 넘어야 소방 관리대상에 포함된다. 그러나 대구의 통신지하구 27곳 가운데 67%인 18곳은 D급 통신시설로 소방법 상 방재시설을 갖출 의무가 없다.

때문에 대다수 통신지하구는 해당 지하구를 관할하는 지점 및 지사가 자율관리한다. 화재 사각지대에 방치되다가 큰 피해를 입은 서울 KT 아현지사 지하통신구와 판박이인 셈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소방당국은 지역 내 통신지하구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통신지하구는 국가보안시설인데도 통신사들이 영업상 대외비로 관리하고 있다. KT 측은 정확한 운영 및 설치 현황을 공개할 의무가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대구시와 소방당국은 지역 내 통신지하구에서도 언제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우선 현황 파악부터 하기로 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KT의 지역 내 통신지하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벌일 것"이라며 "소규모 통신지하구의 경우 현 소방법으로는 규제할 수 없다. 하지만 한 번 화재가 나면 사회적인 파급도 크고 경제적 피해도 막대한만큼 소방시설을 강화하도록 권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KT 대구지사 관계자는 "시민들이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