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후된 대구 서부권 도심재생의 중심이자 대구의 새 철도교통 허브가 될 '서대구 고속철도역사' 건립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
대구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서대구 고속철도역의 실시설계를 마무리짓고,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냈다고 28일 밝혔다.
국비 142억원, 시비 561억원 등 총 사업비 703억원을 들여 지상 3층에 연면적 7천183㎡ 규모로 내년 2월쯤 착공에 들어가 2021년 준공할 예정이다.
서대구 고속철도역사 건립은 지난 2013년 대구시가 서대구역 건립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한 지 5년 9개월 만에 착공하게 됐다.
서대구역은 ▷대구권 광역철도 ▷대구산업선 ▷달빛내륙철도 ▷통합신공항 공항철도 ▷경부고속선 등 5개의 핵심 철도노선이 들어설 대구의 새 교통요충지다.
대구시는 이른바 '대구권'을 연결해줄 근거리 노선(대구권 광역철도, 대구산업선, 공항철도)과 장거리 노선(달빛내륙철도, 경부고속선)을 서대구역에 집중시키면 대구 광역경제권을 아우르는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본설계 당시 계획했던 건축연면적(5천337㎡)을 총사업비 심의 과정에서 7천183㎡로 확대한 것도 이같은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치다.

아울러 서대구역은 낙후된 대구 서남부권 도심환경을 개선할 앵커시설(도심재생을 위해 공공에서 조성하는 거점)로도 주목받고 있다. 서대구역이 들어설 서구 이현동 일대 하폐수처리장과 염색산단, 서대구산단은 과거 지역 산업의 중심이었지만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악취와 공해 등으로 도심의 거주 환경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았다.
시는 서대구역이 향후 서·남부권 철도 수요를 흡수해 자연스레 인근 기반시설의 개선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서대구역 개발에 맞춰 하폐수처리장 3곳(달서천, 북부, 염색산단)을 지하화하고, 1천706억원을 들여 2024년까지 서대구산단을 재정비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역세권 개발과 도시재생사업 등 다양한 개발방안을 추진해 서대구역을 대구 서남부권 발전의 밑바탕으로 삼겠다"며 "2021년 개통을 목표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