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용 구미시장의 공약 사업들이 줄줄이 구미시의회에 제동이 걸리면서 좌초 위기에 놓였다.
장 시장은 새마을과 부서 명칭 변경을 시도하려다가 무산됐고, 트램(노면 열차)을 도입하기 위해 조사용역비 예산 2억원을 편성하려고 했지만 구미시의회 상임위원회에서 삭감됐다.
또 장 시장은 현재 살고 있는 자신의 아파트 전세 보증금 3억5천만원을 관사용 예산으로 편성했지만 시의회가 전액 삭감해 무산됐다.
이 가운데 트램의 경우, 구미시가 5개 노선의 트램을 도입하기로 하고 내년도 예산안에 조사용역비 2억원을 책정했다.
그러나 구미경실련은 5일 '트램 도입 건설비 1조6천억원, 매년 운영비 491억원이 들어 구미시 재정이 파탄 난다'며 성명을 발표하고 사업취소를 요구했다.
조근래 구미경실련 사무국장은 "트램 도입에 따른 토지수용비와 낙동강 구미대교·산호대교 확장 비용까지 포함하면 천문학적 액수로 늘어 수용이 불가능한 사업"이라며 "연간 운영비도 491억원에 달해 구미시 재정으로는 감당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조 사무국장은 "창원·광명·파주·안성·전주·김해시도 트램 도입을 검토했다가 재정 악화 우려로 중단했다"면서 "의정부 경전철이 개통 4년 만에 3천600억원 적자로 파산한 사례를 거울삼아야 한다. 1노선은 버스 노선 1, 2개만 증설하면 해결될 문제"라고 했다.
또 "구미시가 1노선(봉곡동~구평동·16.2㎞)으로 추진하는 구간은 구미공단 출·퇴근 시간을 빼면 오가는 사람이 별로 없어 시내버스 노선도 없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구미시 관계자는 "장세용 시장이 임기 중 1노선을 착공하겠다고 공약했다. 관광객이 늘어나는 등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다음 주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남아 있어 예산이 전액 삭감될 지는 미지수"라고 설명했다.
앞서 구미시는 지난달 새마을과 부서 명칭 변경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시도했지만, 구미시의회의 반대로 새마을과 명칭 변경 내용을 뺀 '구미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구미시의회에 제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