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바른미래당 전 대표가 7일 "제가 생각하는 개혁보수와 바른미래당이 가는 길이 초점이랄까 방향이 조금 맞지 않다는 괴로움이 있다"고 언급, 그가 바른미래당을 나와 새로운 길을 걸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자유한국당의 당권 경쟁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유 전 대표가 향후 행보와 관련된 주목할 만한 발언을 내놓음으로써 보수 진영에 새판이 짜여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유 전 대표는 이날 모교인 서울대 경제학부 특강에 이은 질의응답에서 "바른미래당에서 '보수라는 말을 쓰지 말자, 왼쪽도 오른쪽도 아니고 중도다'라고 이야기하는 분들과 안보와 경제, 복지에 대해 생각을 같이할 수 없는 부분이 있어서 괴롭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당이 어디로 가는지 밝히지도 않은 채 자유한국당을 대체하겠다고 하면 안 통하겠죠"라고 말했다. 이는 "바른미래당 안에서 개혁보수가 얼마나 이뤄질지 불안하다"는 지난달 29일 연세대 강연에서의 발언보다 한층 수위를 높여 바른미래당의 정체성을 정면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권발 정계개편 가능성이 계속 거론되는 상황에서 유 전 대표가 수위 높은 발언을 연일 내놓음으로써 모종의 결단을 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유 전 대표는 지난 대선 때부터 보수가 새로운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는 이른바 개혁보수를 지향해왔으며, 이런 관점에서 최근 바른미래당의 행보는 그의 정치지향점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생각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대표는 이날 특강 전 기자들과 만나 바른미래당이 민주당과 한국당의 선거제 개혁을 뺀 예산안 합의에 반발하면서 농성에 나선 것과 관련, "당초 당 안에 예산안과 선거제를 연계하는 문제에 의견이 엇갈렸는데, 저도 예산안은 예산안대로 심의하는 게 맞지 않나 이런 생각을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는 내년도 예산안과 선거제 개혁안 연계처리를 주장해 온 현재 당 지도부의 입장과 배치되는 견해를 밝힌 것이다.
그는 한국당에서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가 논의 중인 박근혜 전 대통령 불구속 재판 결의안에 대해선 "그 자체에 대해 평가하기보다 그동안 보수 정치권과 한국당이 친이(친이명박), 친박, 비박 등 계파로 나뉘어 과거 문제로 갈등했던 부분이 있었는데, 건강한 보수의 재건을 위해 과거보다 미래를 위해 나아가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 대표는 손학규 대표가 선거제 개혁안 합의를 촉구하며 단식에 들어간 데 대해선 "찾아뵙고 만류할 생각"이라며 "손 대표가 어떤 각오로 단식을 시작하셨는지 말씀을 들어보고 당 대응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