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업체들 52시간 근로제 대책없다.

29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천 광교갤러리에서 프리미엄 엠버라거
29일 오전 서울 중구 청계천 광교갤러리에서 프리미엄 엠버라거 '레드락'이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을 응원하며 명화를 이용한 '퇴근하겠습니다' 캠페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 주 52시간 근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이에 해당하는 지역 업체들이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채 경영애로를 호소하고 있다.

올해 말로 주 52시간 근로제 처벌 유예기간이 끝나는 300인 이상의 지역 업체들은 법규를 준수하려면 당장 인력을 충원해야 하고 잔업이 줄면서 근로자 임금도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보전할 방법도 찾아야 한다.

해당 업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라 생산성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직원 채용을 늘려야 하지만 상당수 기업들은 여력이 없다. 특히 제조업체들은 생산공정 뿐만 아니라 영업과 연구개발 등 분야별 업무 특성으로 인해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 달성군 한 식품제조업체는 현재 생산직의 근로시간은 52시간을 훌쩍 넘는다. 휴식시간을 10분 더 연장하는 방식으로 법정 근로시간을 맞출 계획이지만, 추가 주문시 생산량을 맞추려면 현재 인원으로는 근무시간을 초과할 수밖에 없다. 갑자기 불량이 발생하면 물량을 맞추기 위해 추가 근무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대구 달서구의 자동차 부품업체는 생산직을 2교대로 돌리지만 계절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커서 현행 3개월인 탄력 근로제로는 주 52시간 근무를 지키기가 어렵다. 또 기술과 설비 분야 직원도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

가장 문제가 되는 분야는 연구직과 영업직이다. 부설연구소 연구직의 경우 맡은 프로젝트에 따라 근무시간이 급격하게 늘어나기도 하고, 해외 판매를 담당하는 영업직은 퇴근 이후에도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올 7월부터 근로시간 단축을 적용받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317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4.4%가 '주 52시간 초과 근로가 아직 있다'고 답했다. 또 조사대상의 71.5%는 근로시간 단축 시행으로 실제 경영애로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초과근로가 있다는 기업 중에는 연구개발 등의 직무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납기를 맞추기 위해 당분간 초과근로가 불가피하다는 기업도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