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국비 확보의 '달인 공무원' 이정우 사무관

올해에만 11개 공모사업 선정 국비 190억원 확보

이정우 경북도 일자리청년정책관실 청년정책업무담당
이정우 경북도 일자리청년정책관실 청년정책업무담당

열악한 지방재정 보완을 위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국비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와중에 올 한해에만 11개 공모사업 선정으로 국비 190억원을 확보한 공무원이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경상북도 일자리청년정책관실 청년정책업무담당 이정우(51) 사무관. 1989년 영양군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한 이 사무관은 지난해 7월 일자리청년정책관실에 둥지를 틀었다.

'나랏님도 해결 못 한다'는 청년 일자리 창출의 난제와 맞닥뜨린 그는 청년이 쉽게 창업하도록 돕고, 변화하는 산업구조의 흐름을 따라가려면 정부공모·국책사업 발굴로 재원을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청년 관련 업무를 맡은 후 하나, 둘 공모사업 접수를 시작했던 것이 올해 들어 성과로 이어졌다. 경북청년 키친 랩 구축 등 행정안전부 사업 7개,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등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2개 등 4개 부처를 넘나들며 선정된 공모사업만 11개(국비 190억원·총사업비 300억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창출된 청년 일자리가 584명이고, 294개의 창업팀을 육성할 기반이 마련됐다. 특히 도가 올해 유치한 대형 국책사업 '스마트팜 혁신밸리'(국비 1천억원 규모)도 이 사무관이 지난해 진행한 '스마트팜 청년창업자유구역지정 타당성 연구용역'에서 시작됐다.

비결은 매일 정부 각 부처의 동향과 보도자료 등을 분석해 어떤 공모사업이 있는지 관심을 두고 부지런히 살핀 데 있다. 이 과정에서 도에 적용·필요할 사업이 눈에 띄면 다른 부서의 일이라도 즉각 사례 분석과 전문가 자문에 나섰다. 23개 시·군과 지역 여건을 고려해 함께 할 '파트너'를 골랐고, 협의하며 제안·보고서의 방향을 잡았다.

이 사무관은 "공모사업 선정으로 희망을 품는 지역 청년을 옆에서 지켜 보니 절로 에너지가 솟았다. 힘든 줄도 모르고 올 한 해 달렸더니 좋은 성과를 낸 것 같다"면서 "몇 차례 선정된 이후에는 어떻게 하면 선정될 수 있는지 길이 보이더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