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안전 문제 심각한 노후 전통시장, 재건축 등 해법 찾아라

시설 노후화로 안전 문제가 제기된 전통시장이 대구에도 적지 않아 시민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일부 전통시장은 재난위험시설(D급) 판정과 함께 철거 직전 단계에 이를 만큼 구조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사유 재산권 문제 등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근본적인 대책 마련 없이 계속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구시내 121곳 전통시장 가운데 재난위험시설로 판정된 시장은 4곳이다. 산격종합시장과 동대구시장, 수성시장, 대명시장이 그런 사례로 40, 50년이나 돼 시설 노후화가 한눈에 띌 정도다. 당장 사용을 금지해야 하는 E급 재난위험시설은 아니지만 붕괴 위험 등 안전사고 가능성이 높다. 만일 대책 마련을 미루다 인명 피해를 부른다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비화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대구시는 올들어 시내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전수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취약 위험시설 보수·보강에 모두 123억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특히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D급 시장의 시설물 보수·보강 공사에 집중했다. 하지만 연립주택과 점포로 이뤄진 동대구시장의 경우 보수 작업을 진행하다 너무 낡고 오래돼 효과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현재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그나마 재건축·재개발이 유일한 해법이지만 주민 33가구 중 기초생활수급자가 절반에 이르고 대부분 80대 이상 고령층이어서 엄두도 못 내는 처지다. 중앙정부나 대구시 예산으로 재건축 후 임대 등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지켜보는 수밖에 없어 실로 난감한 문제다.

최근 붕괴 위험으로 서울시가 구조 보강에 나선 강남구 대종빌딩이나 지난 6월 서울 용산구 4층 상가건물 붕괴에서 보듯 건물 노후화는 심각한 도시 문제다. 대구시도 도시 전반에 걸친 안전 진단과 노후 건축물 대책을 미리 세워야 한다. 노후 전통시장 재건축과 관련한 제도 정비를 서두르고 안전 매뉴얼도 꼼꼼하게 작성해 인명 피해를 막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