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의 명운 걸린 대구산업선 철도... 대구 신성장 거점 위해 반드시 필요...

문재인 대통령 지역공약, 지역균형발전 위해 정부가 필요성 인정한 사업...
산업단지 교통여건 개선, 고용환경 개선과 청년일자리 창출 및 남부권 물류거점 역할 수행

서대구고속철도역 예정지. 매일신문DB

대구의 곳간을 책임지고 있는 산업단지 대부분은 서·남부권에 몰려있다. 성서산업단지, 대구국가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달성산업단지 등을 잇는 철도망 구축 사업은 대구시가 오래 전부터 공을 들였던 핵심현안이다.

지역 성장의 새로운 거점으로 뜨고 있는 서·남부권 산업단지로의 접근성이 확대되면 고용창출 및 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남부권 산업단지를 모두 잇는 대구산업선(서대구고속철도역~성서산업단지~달성1차 산업단지~테크노폴리스~달성 국가산업단지) 철도 건설사업은 대구의 명운(命運)이 걸린 과제로 지역민들은 인식하고 있다.

서대구고속철도역 예정지. 매일신문DB

그러나 상황은 녹록지가 않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인 대구산업선 철도는 경제성이 여의치 않아 상당한 진통을 겪고 있다. 급기야 지난해와 올 초 각각 열린 예타 1·2차점검회의에서 퇴짜를 맞았다. 예타 수행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을 계속 고수하고 있어서다. 결국 예타조사는 보류됐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예타 면제 대상사업 선정에 나서면서 대구시는 가뭄에 단비를 만난 격이 됐다.

시는 대구산업선 철도 건설사업을 1순위로 신청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공약에 포함됐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반영되기도 하는 등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정부가 필요성을 인정한 사업인만큼 반드시 예타 면제사업에 선정돼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산업단지 교통여건이 좋아지면서 고용환경이 개선되고 청년일자리 창출, 남부권 물류거점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대구산업선은 정부의 예타 면제에 필요한 자격요건을 갖췄다고 분석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산업선은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년)에 반영돼 주요 산업단지에 철도기반 복합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국가철도 정책목표와 부합한다"며 "대구국가산업단지 등 영남권 핵심산업단지로의 접근성을 높여 국가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등 국가균형발전 취지에도 맞다"고 강조했다.

해당 구간이 뚫리면 경남 창녕 대합산단과도 연결돼 경남 서·북부 지역과의 경제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장차 대구~광주 달빛내륙철도와도 연계할 수 있어 영호남 상생은 물론 국민 대통합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대구시의 설명이다.

현재 최종부지 선정만 남겨놓고 있는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의 연계철도망이 구축되면서 신공항의 미래 수요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된다.

정영준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는 예타 면제 대상사업의 요건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광역권 교통·물류 기반 구축 ▷지역전략 사업 ▷경제성 조사가 많이 진행된 사업 등을 내세운 것으로 안다"며 "대구산업선 철도 건설사업은 이런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만큼 정부가 전향적 판단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대구산업선 철도는 기존 경부선(서대구고속철도역)에서 대구국가산단을 연결하는 연장 34.2㎞(정거장 7개)의 여객 및 화물열차가 운행하는 일반철도다.

인근 경남 창녕군 대합산단을 영향권을 두고 있으며, 총사업비로 국비 1조2천880억원이 투입된다. 생산 유발효과 2조2천17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천836억원, 고용 유발효과 1만5천940명, 취업 유발효과 1만8천93명 등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시는 추산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