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고 도시? 안전 도시!" 대구시, 시민참여·생활밀착형 안전정책 성공적으로 펼쳤다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강화, 지진재난 행동안전 패키지 배부 등 시민참여형 생활안전 인프라 강화 나서

대구시가 시민참여·생활밀착형 안전정책을 펼치며 안전 도시로의 명성을 높이고 있다. 지난 2월 겨울을 맞아 대구시가 실시한 대형화재 대책회의에서 권영진 시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시민참여·생활밀착형 안전정책을 펼치며 안전 도시로의 명성을 높이고 있다. 지난 2월 겨울을 맞아 대구시가 실시한 대형화재 대책회의에서 권영진 시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한때 '사고 도시'라는 오명을 얻었던 대구시가 '안전 도시'로 입지를 굳혀나가고 있다. 실생활에 가까운 정책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안전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졌다.

◆안전교육 여건 개선 위한 '시민안전교육센터' 설립 추진

대구시는 올해 '2018 국민안전교육 시행계획'을 수립, 체계적으로 시민 안전교육을 진행했다. 대구시 20개 부서와 관련 기관이 참여해 6대 안전분야, 즉 ▷생활 ▷교통 ▷자연재난 ▷사회기반체계 ▷범죄 ▷보건안전에서 37개 과제를 세분화했고, 안전사고 피해가 큰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안전교육도 강화했다.

이에 따라 올 한해 연령층별로 특성에 맞는 맞춤형 안전교육을 진행해 미래안전지킴이와 청소년, 청·장년, 노인 등 7만여 명을 대상으로 1천153차례에 걸쳐 교육을 진행했다. 특히 체험교육의 효과가 높은 점을 감안해 가족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체험형 안전캠프도 지속적으로 마련했다. 시는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자 가칭 '시민안전교육센터'를 설립키로 하고 연구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시가 지난 10월 지역 내 모든 가정에 배포한 '지진재난 행동안전 패키지'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안전 패키지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재난 대책을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화로 제작한 안내 책자와 함께 주소지별 주변 지진대피소를 알려주는 재난카드, 재난 행동요령 매뉴얼, 이산가족의 빠른 재회를 돕는 가족카드 등이 담겼다.

시는 패키지 제작 과정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활용해 내년에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 지진대피소 안내 시스템을 도입할 방침이다. 이 시스템은 웹사이트와 모바일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는 고질적인 안전 무시 관행을 뿌리뽑고자 ▷불법 주‧정차 ▷비상구 폐쇄 및 물건 적치 ▷과속운전 ▷안전띠 미착용 ▷건설현장 보호구 미착용 ▷등산 시 화기‧인화물질 소지 ▷구명조끼 미착용 등을 7대 관행으로 규정하고 개선을 유도했다.

특히 대구소방안전본부와 함께 지역 내 다중이용업소 8천600여 곳을 대상으로 비상구 발광표지와 '폐쇄·물건 쌓기 금지'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다.

대구시가 어린이,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재난 대비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어린이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래지킴이 양성교육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어린이,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재난 대비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어린이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래지킴이 양성교육 모습. 대구시 제공

◆생활 속 안전위험요소 2만1천648여 건 안전신문고에 신고

2014년부터 추진 중인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도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4년 간 달서구 두류동과 동구 신덕마을, 달성군 논공읍 등 대구시내 10개 마을에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등 선진안전기법을 도입했다. 안전마을로 조성된 곳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늘어나고 이웃 관계가 좋아지는 등 지역 공동체가 살아났고, 위험지역이라는 인식이 낮아지는 등 투자 대비 사업 효과도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 밖에도 대구경찰청과 협업해 안심귀갓길 환경개선사업과 원룸촌 범죄예방 안심환경 조성사업도 추진 중이다.

시민 밀착형 안전정책이 도입되면서 안전 점검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시에 따르면 이달까지 안전신문고에 접수된 대구 생활 속 안전위험요소 신고 건수는 2만1천648여 건으로 인구 1만 명당 87건을 웃돌았다. 이는 전국 7개 광역시 중 대전(1만5천903건, 1만 명 당 106건)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에 따라 시는 안전마을 4곳을 더 조성하는 한편, 시민들이 동참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심재균 대구시 안전정책관은 "올 한해 시민참여형 생활안전 인프라를 강화한 결과 대구에서 대형 화재나 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대구시는 시민과 함께 사람 중심의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가 어린이,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재난 대비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어르신 대상 안전교육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어린이,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재난 대비 안전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어르신 대상 안전교육 모습. 대구시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