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도 'BMW 결함은폐 의혹' 사실로 가닥…임직원 추가 입건

"국토부 조사결과, 수사과정서 파악"…BMW코리아 윗선 개입 여부도 수사

25일 오후 충남 공주시 천안∼논산고속도로 인풍교 인근 갓길에서 119 소방대원이 BMW 520d 승용차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오후 충남 공주시 천안∼논산고속도로 인풍교 인근 갓길에서 119 소방대원이 BMW 520d 승용차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입차 브랜드 BMW가 차의 결함을 알고도 은폐해왔다는 국토교통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그간 관련 의혹을 수사해온 경찰도 이를 사실로 볼 만한 정황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임직원들을 추가로 입건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30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최근 BMW코리아의 상무 1명과 직원들을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추가 입건했다.

경찰은 새로 입건된 상무와 직원 등을 소환해 차량 결함을 미리 알고도 '늑장 리콜' 했는지 조사했다. 이와 함께 김효준 BMW코리아 회장 등 '윗선'의 개입 여부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BMW코리아가 이미 2015년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결함을 알고 있었다는 국토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 결과를 두고 "수사 과정에서 파악한 정황"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BMW 차주들이 이 회사 독일 본사와 한국지사 회장 등을 고소함에 따라 수사에 나선 경찰이 피고소인뿐 아니라 실무자, 업무 관련성이 있는 임원까지 추가로 입건하며 수사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경찰은 지난 8∼9월 BMW코리아 사무실과 EGR 부품 납품업체 본사, 연구소 등을 압수수색 해 확보한 자료도 계속 분석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입수한 자료가 방대하고 기술적인 내용이 많아 시간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BMW의 결함은폐 의혹은 올해 여름 이 회사의 차에서 잇달아 불이 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