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트레스 유발하는 이명, 증상 원인에 맞는 치료법과 사후관리 필요

류도균 원장
류도균 원장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귀에서 윙윙 거리는 소리가 들려온다면 '이명'을 의심해야 한다. 그렇잖아도 다양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러한 이명은 일상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불현 듯 찾아오는 '이명'은 고주파 순음, 기적음 등이 지속적으로 들릴 수 있다. 지속되는 이명은 극심한 수면장애, 식욕부진, 정서불안 등을 야기하고 우울증까지 동반해 주의가 필요하다.

예전에는 이명으로 고생하는 환자 대부분이 생산직근로자나 군인과 같은 소음에 노출되기 쉬운 직업을 가지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사무직, 전문직, 서비스직 종사들에게도 많이 발병하고 있다.

이러한 이명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상은 물론 각종 합병증도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지는 만큼 스트레스성 불면증, 신경쇠약, 두통, 우울증 등을 동반하거나 난청으로까지 이어지기 전에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의학에서는 한방치료 과정을 통해 이명원인 파악을 중요시한다. 귀 건강 상태는 물론 장부의 이상이나 신체의 허약함 등을 함께 파악해 치료에 집중한다.

신비한의원 류도균 원장은 "이명증상은 원인이 다양하다.

한의학에서는 기허이명, 혈허이명, 신허이명, 간화이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명원인을 분류한다. 즉 각각 원기가 허할 때, 혈이 부족할 때, 신장이 허할 때, 간에 울체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이명을 뜻 하는 만큼 치료 방법에도 차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명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귀 내시경과 청력 검사실을 통한 청력검사, 고막검사, 진맥을 실시한다. 청력의 손실 유무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만약 청력 손실이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 형태는 어떤지, 원인은 무엇인지도 알아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명 원인에 따라 이명증상과 동반되는 증상은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는 것. 때문에 신비한의원 측에 따르면 이명 증상과 원인, 장부의 건강 상태를 반영한 한약처방을 한다.

이를 통해 귀 건강 증진, 평소 약했던 장부의 회복 효과를 동시에 얻는 것이 가능해 환자는 이명과 함께 나타났던 동반 증상 해소에도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귀울림 증상에 대한 치료 효과는 관련 약침과 침요법으로도 강해질 수 있다고 한다.

이명은 때로는 귀의 기혈 흐름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때 기혈 흐름을 바르게 흐르도록 만들어주는 약물을 주입해 치료하는 약침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류 원장은 "사후관리도 중요하다. 이명 치료 후 1년에 1~3회 정도 환자의 상태를 점검해 줄 필요가 있다. 이명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인상태에 맞는 이명 생활습관 관리 방법도 안내 받아야 재발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