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인구가 54년만에 인구 10만 명 아래로 떨어진 충격으로 상주시 1천여 공무원이 21일을 '공직자 성찰과 다짐의 날'로 정하고 근조(謹弔) 넥타이를 매고 근무한 것(매일신문 21일 자 2면)을 두고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상주시는 이날 부서별로 인구 10만 명 붕괴를 막지 못한 것을 자책하고 애도하는 의미로 사실상 문상객 차림을 하고 근무했다. 공무원들은 이날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동료들의 눈치를 보며 표정 관리를 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일부 시민은 "심리적 마지노선인 10만 명 선이 무너진 데 대해 공직자들이 다시 한 번 책임감을 갖고 재도약을 위해 매진하자는 충격요법 아니겠느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인구 감소는 전국적인 현상인데 공무원 사기를 떨어뜨리는 이런 상복 차림 근무가 득될 게 없다"는 부정적인 반응도 나왔다. 또 "재도약을 위해 열정적으로 일하겠다는 의미로 차라리 붉은색 넥타이를 매고 일한다면 모를까, 문상객 차림은 오히려 혐오감과 불편감만 줄 뿐"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런 가운데 상주시가 인구 감소를 인정하고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한다는 의견도 적잖다.
65세 이상 노인층이 30% 이상을 차지하는 상주는 지난해 내고장 주소갖기 운동 등을 통해 전입(6천222명)이 전출(6천104명)보다 118명이 더 많은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상주시의 출생은 470명인데 비해 사망은 1천266명으로, 자연감소만 796명이나 돼 10만 명 붕괴를 막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